별의 커비 시리즈 중 일대 혁명이 있었던 작품. 1996년 3월 21일 7,500엔에 발매된 슈퍼 패미컴 게임이다.
나무 상자에 그림이 새겨진 독특한 모습의 패키지인데, 실제로도 귀한 물건을 담을 때 쓰는 나무상자였다고 한다. 20주년 기념판에서도 이와 비슷한 모습의 케이스 이미지가 채용.
우선 액션성이 굉장히 향상되어 대전 액션 게임이 연상될 정도로 한 카피 능력당 많은 커맨드 기술들이 생겼는데, 슈퍼 패미컴치고는 상당히 본격적인 액션이 가능한데다 2인 협력 플레이까지 지원되었다. 흡수되는 적들마다 능력이 달라서 어떤 능력은 큰 액션성을 요구하지 않는 등 초보부터 고수까지 즐길 수 있도록 고려된 편. 그리고 전작들은 어떤 공격을 받든 칸형식의 체력이 까이는 정도였지만 슈퍼디럭스에 와서는 지금은 흔히 보이는 게이지 형식의 체력바로 나오며 각 적들의 공격에 따라 피해량도 다르게 되었다. 스테이지 구성도 어느 정도 이제까지의 커비 시리즈를 종합한 구성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스테이지 간의 스토리가 부드럽게 이어져 스토리텔링적인 면도 굉장히 강조되었다. 시리즈 중에서도 손꼽히는 걸작이다.
또한 이 시리즈에서 최초로 커비가 닌텐도 게임 주인공들[3]만의 특권(?)인 모자를 쓴다.[] 모자는 이후 별의 커비 꿈의 샘 디럭스에 재등장하고 나서 별의 커비 거울의 대미궁에서야 확립되어서, 카피를 해도 외형이 영 밋밋하던 커비의 외형에 여러 디자인의 모자로 개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5] 모자를 쓴 커비는 이후의 정통파 별의 커비 시리즈와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서 계속 나온다.
잡몹들과 따로 헬퍼로 소환할 수 있는 일부 중간보스들의 배색이 다른 게임과 다르며, 원래의 배색은 헬퍼들이 갖고 있다.
슈퍼 디럭스 한정으로 음식과 카피 에센스가 탄막 계열 공격을 막는다. 그래서 탄막 계열 능력으로 음식 뒤에 있는 적을 평소 같았으면 잡았을것을 못 잡는다거나 하는 해프닝이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입에 뭔가를 물고 있을 때 공격을 받으면 바로 뱉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대미지를 입어 카피 능력이 빠져 나왔을 때 그걸 빨아들인 상태에서 삼키기 전에 공격을 받으면 바로 뱉어버려 능력을 잃어버릴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롬 파일 용량은 32Mbit(=4MB). 슈퍼 패미컴 게임 중에서도 매우 큰 용량을 자랑한다.
북미판 CM에 나오는 캐치프레이즈는 'TMK: Too Much Kirby'.
일본판 CM. 건장한 아저씨 둘이서 "커비쨩! 커비쨩!" 하면서 뛰어다니는 기묘한 광고이며 나중에 패러디 소재가 되었다. 자세한 건 샌드 캐니언 문서 참고. BOFU2017에서 TOP 10에 자리한, 샌드 캐니언의 커버곡 'KIRBY-CHAN'D CANYON'에 이 CM이 패러디되었다.
게임 구성
게임 흐름은 특수 규칙에 따라 크게 6가지로 나뉘고, 한가지 게임을 클리어하면 그 다음 게임이 언락되어 즐길 수 있게 확장되는 형식이다. 난이도는 점점 어려워진다.
클리어 후 엔딩에서 스탭롤을 볼 수 있는 게임은 ★표시.
서브 게임
둘 다 2인 플레이가 가능하며 1인 플레이 시 난이도를 3단계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울트라 슈퍼 디럭스의 경우 원작의 그래픽 그대로 심플 서브게임으로 수록되었는데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해금되며 1인 플레이만 가능하다.특이하게 울슈디 버전에서도 슈퍼디럭스 시절의 그래픽을 그대로 옮겨왔다.
닌텐도 리메이크판
닌텐도 DS에도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란 이름으로 이식되었다.[] 그리고 DS판은 완전 한글화돼서 정발도 되었다. 커비 게임중 입문작 한 가지를 추천한다면 우선 이쪽을 고려해도 좋다.
그래픽은 닌텐도 DS의 성능이 슈퍼패미콤보다 좋은 만큼 상당히 향상되었다. 도트는 별의 커비 꿈의 샘 디럭스에서 정립된 디자인을 기반으로 사이즈를 슈퍼패미컴판 분위기에 맞게 재구성했으며, 원본에서 도트로 묘사되었던 중간 영상들은 전부 3D 애니메이션으로 바뀌었다. 다만 음원 칩 문제로 사운드는 원판보다 오히려 나쁘다. 사운드가 나빠진 것 같다는 평가를 듣는 것은 슈퍼 패미컴에 탑재된 PCM 음원 칩의 성능이 너무 좋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닌텐도 DS에 탑재된 음원 칩도 동급의 성능이기는 하나 아무래도 휴대용 기기라는 특성상 스피커가 소형화되어 스테레오 스피커라도 이 정도의 음질을 내기는 힘들다.
변경점은 리메이크 게임치고는 굉장히 많은 편이다. 특히, 카피 능력은 윙을 다루기가 원본인 슈퍼 패미컴 버전보다 상당히 쉬워졌다. 또한, 해머의 판정이 SDX에 비해 커졌으며 보스가 공격하면서 별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져서 슈플렉스, 윙, 파이터 등 던지기 기술이 있는 능력이 간접 상향을 먹었다.
정통파 커비 시리즈에 있어서 본작은 꽤나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 HAL 연구소는 이 작품을 발매한 후, 후속작에 이 작품을 베이스로 하여 별의 커비 Wii부터 카피능력에 도팡일당의 습격+울트라 슈퍼 디럭스의 기술들이나 가드의 재도입 같은 소소한 점들이 반영되어 기본 조작체계는 오랜 시간이 지나 슈퍼디럭스 스타일로 회귀하였다.[48] 그외에는 본편 클리어 후 추가 모드에서 또다른 스탭롤이 나온다던지, 게임 내 파일 초기 화면이 이와 비슷한 콜라주 모양이라던지, 미니게임들이라던지, 다른 캐릭터로 플레이할 수 있는 모드라던지, 이 작품 이후로 계속 등장하고 있는 진 격투왕의 길과 소울 최종보스 등이 있다.[]
이 작품부터 커비 정통파 시리즈에 이어지는 카피 능력에 고유한 색과 문양이 생기게 되었다.[] 이후 시간이 흘러 별의 커비 Wii에서 능력별에 색상과 문양이 추가되면서, 그 이후의 별의 커비 트리플 디럭스나 별의 커비 스타 얼라이즈등의 정통파 작품과 커비 파이터즈 같은 외전작에도 꾸준히 등장한다.
특히 기술 반영이 정말 중요한게 몇몇 카피능력은 기동력이나 기술의 다양성이 극단적으로 갈라졌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슈퍼디럭스 시절로 돌아간 것만으로도 상향을 먹게된 기술들이 대폭 늘었다.
한국판을 제외한 북미판, 유럽판, 일본판 박스아트에서는 시미러가 각각 ESRB, PEGI, CERO 마크의 피해자가 되었다
커비 관련 이스터 에그가 많은데 일단 일반적인 오프닝은 왼쪽 방향으로 돌아가는 4갈래의 빛속에서 워프스타를 타는 커비가 플레이어를 향해 오른손을 들고 인사하고, 비장한 표정으로 파도를 가로지르더니 공중으로 솟아올라 8개의 별이 된다. 하지만 일정확률로 나오는 숨겨진 오프닝에서는 오른쪽 방향으로 돌아가는 6갈래의 빛속에서 나타나 왼손을 들고 윙크를 한채 플레이어에게 인사를 하고 해맑은 표정으로 바다를 가로지르며 별들이 엄청난 속도로 흩어진다.[54] 하단의 GO! 메타 나이트 모드를 클리어한 이후에는 영상 목록에 날아라! 메타 나이트가 추가되며 가끔씩 오프닝에 이 영상이 삽입되기도 한다. 또한 게임을 껐다 킬때마다 타이틀 스크린의 커비의 표정이 달라진다.
게임 헬퍼별 공략
일부 헬퍼가 가지고 있는 잡기 계열의 기술은 당연히 보스를 잡는 게 아니라 보스와의 전투 중 발생하는 '피사체'를 잡아서 극딜을 넣는 방식임을 고려하며 읽자.
넉클 죠(파이터)
B를 길게 눌러 나가는 스매시 펀치가 리치도 길면서 대미지도 적당하다. 공중에서도 발동되니 웬만한 보스는 무난하게 잡을 수 있지만, 후딜이 조금 있어 배틀 윈도우 전이 장기전이 된다. 한손 던지기라는 잡기 기술이 있긴 하나, 포물선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궤도를 맞추기 어렵다.
파라솔 웨이들 디(파라솔)
B를 꾹 눌러서 나가는 파라솔 쉴드보다 B를 연타해서 나가는 파라솔 스윙이 더 대미지가 세다. 돌진기인 파라솔 드릴(대시 B)과 파라솔 다이브(공중 ↓B)는 생긴 것과는 다르게 무적 판정이 없으니 쓰지 말 것. 잡기 기술인 파라솔 서커스가 있다는 게 위안.
칠리(아이스)
일반 공격은 대미지가 낮고, 공중 공격인 꽁꽁 스프링클러와 B연타기인 꽁꽁 눈보라는 대미지는 괜찮지만 리치가 짧다. 그래도 잡기 기술인 아이스 머금기 덕에 중간중간 폭딜을 넣을 수 있다.
블레이드 나이트(스워드)
체력이 가득 차있을 때 나가는 스워드 빔이 유일한 원거리 공격이니 잘 활용해야 한다. 돌진기인 피어싱 스워드가 거의 유일한 무적기이니 참고.
시미라(미러)
B를 꾹 눌러서 나오는 리플렉트 포스보다 B를 연타해서 나가는 미러 컷이 더 세다. 파라솔 웨이들 디와 비슷하지만 문제는 파라솔 스윙은 사거리가 길지만 미러 컷은 매우 짧다는 것. 게다가 시미라는 잡기 기술도 없어 폭딜도 못넣는다. 그래도 대시공격인 분신공격이 무적기이다.
부메랑기사(커터)
타임 어택을 포기하고 클리어만 할 거라면 거리 두고 부메랑을 던지기만 해도 되지만, 타임 어택을 할 거라면 적 근처에서 B를 눌러야지만 나오는 근접 공격 연속기를 활용해야 해서 컨트롤이 까다롭다.
플라스마 위습(플라스마)
헬퍼 중에서 유일하게 공중부양을 해서 공중에서도 자유자재로 공격할 수 있다. 가드 중에도 기를 모을 수 있고 풀차지 시 배리어로 일부 공격을 상쇄할 수 있지만, 손이 꽤나 아픈 게 단점.
웨이들 두(빔)
기본 공격기는 대미지가 너무 낮아 못 써먹을 성능을 지녔지만, 대시+공중 B인 빔 머신건과 차지 기술인 웨이브 빔의 대미지가 세니 그 둘을 주력으로 쓰면 된다. 잡기 기술인 캡처 빔도 있다.
포피브라더스Jr.(밤)
폭딜 기술은 없지만, 초원거리에서 안전하고 꾸준하게 딜을 넣을 수 있다. 설치 형태의 폭탄은 일반 폭탄(16)보다 데미지가 10 높으니 참고.
기무(요요)
요요를 쓰는 공격 전반이 리치가 길고 딜링도 괜찮은 편이며, 잡기 기술인 해머 드롭도 있어서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버든(윙)
일반 공격은 대미지가 너무 낮지만 공중 ↓B인 폭격 박치기의 충격파가 리치와 대미지 둘 다 적당하니 주력으로 쓰면 된다. 잡기 공격인 토스 후 셔틀 루프 공격이 극딜이 들어가긴 하지만 돌진기라서 시전 직후 보스와 접촉해 대미지를 입을 확률이 높으니 주의.
바이오스파크(닌자)
B를 길게 눌러 나가는 4연속 내려치기의 대미지가 매우 세다. 하지만 근접기라 거리 계산을 잘못하면 맞을 수 있다. 잡기 기술인 에어 드롭도 주 기술. 이걸로 크랙코나 다이나 블레이드는 한방에 빈사까지 몰고 간다.
본커스(해머)
일반 격투왕의 길에서도 해머 능력이 정석으로 꼽히는 만큼, 쾌적한 플레이가 보장된다. ↑B로 발동되는 화염 강타는 이 게임에서 최강의 결정력과 말뚝딜을 자랑하는 기술이다.
버닝레오(파이어)
B 지속 + 바라보는 쪽의 반대 키를 눌러서 발동되는 불덩이 지옥의 대미지가 매우 세서 말뚝딜은 잘 넣는다. 움직임이 격해서 이 기술로 승부를 볼 수 없는 적은 딜레이가 짧은 불 뿜기로도 승부를 빠르게 볼 수 있다.
캡슐J2(제트)
풀차지 돌격+급브레이크로 발동되는 제트 크래커의 충격파를 주력으로 쓰면 된다. 정 타이밍을 잡기 어렵다면 그냥 타이어맨마냥 풀차지 제트 대시로 왔다갔다하며 보스를 치고 가는 것도 괜찮은 방법. 잡기 기술인 날리기가 존재하는데, 풀차지 상태에서 날리기를 쓰면 극딜이 들어가니 잘 활용할 것. 심지어 거의 화면 전반에 타격을 준다.
벅지(슈플렉스)
공중 ↓B인 핀포인트 킥을 제외하면 모든 기술이 잡기 기술이라 보스에게 통하지 않는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잡기 기술은 대미지가 매우 세니 평소엔 핀포인트 킥으로 짤짤이를 넣다가 성형탄이 나오면 잡아서 폭딜을 넣으면 된다.
타크(카피)
공격기인 스틸 핸드는 명중하면 후딜이 초기화돼서 말뚝딜이 은근히 매섭다. 게다가 타크의 가드인 타크 하이드는 모든 공격을 완벽하게 피할 수 있는 유일한 가드여서 초보자라도 쉽게 깰 수 있다.
타이어맨(휠)
별 거 없다. 그냥 보스를 가운데 두고 마구 굴러대며 방향 전환할때 부딪히지 않게만 조심하면 무난히 승리. 필드가 넓을수록 유리하다.
록키(스톤)
직격 대미지가 은근히 세다. 게다가 돌로 변하면 모든 공격을 무시하니 본커스와 함께 초보자 추천 캐릭터.
스워드 나이트(스워드)
블레이드 나이트와 비슷하지만, 위찌르기 공격이 있어 일부 공중형 보스를 상대로 유리하게 싸울 수 있다.
리메이크 서브게임
별의 커비 꿈의 샘 디럭스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리메이크되면서 서브게임이 전부 개편되었다.[] 전부 터치펜으로 플레이하며 최대 4인까지 대전 가능하다. 1P는 분홍, 2P는 노랑, 3P는 빨강, 4P는 초록색 커비이다. 각각 난이도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젤다의 전설 트라이포스 삼총사 게임소개 (0) | 2021.07.29 |
---|---|
케이던스 오브 하이랄 크립트 오브 더 네크로댄서 feat젤다의 전설 게임소개 (0) | 2021.07.28 |
별의 커비 64 게임소개 (0) | 2021.07.26 |
별의 커비 도팡 일당의 습격 게임소개 (0) | 2021.07.25 |
모여라 커비 게임소개 (0) | 2021.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