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Evan[]이 픽셀 던전의 소스를 이용해[] 더 다양한 몬스터, 인첸트, 아이템 등을 추가한 게임. 구글 플레이 설명에는 픽셀 던전을 최고의 명작 로그라이크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라고 되어있다. 넷핵으로 치면 언넷핵같은 컨셉의 변형판이다. 안드로이드하고 PC[], ios를 지원한다.
국내에서는 앱 아이콘이 녹색 보물상자인 것에서 따서 '녹픽던'이라 부른다.
영어가 된다면 공식 사이트와 픽셀 던전 위키의 해당 항목을 참고해도 좋다. 자바가 된다면 GitHub를 참고해도 된다. 여기서 PC판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도 있다. 2022년 현재 기준으로 국내 녹픽던 이야기의 99%는 이곳에서 나오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며 이곳 말고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된다. 원래는 로그라이크 갤러리에서도 이야기가 자주 나왔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갈수록 글 지분량이 돌죽과 넷핵 등에게 밀려버려서 거기에 더이상 낄수가 없기 때문이다. 대신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갤러리 글 리젠량이 매우 활발하다. 여기에 고갤의 후손인 중갤이 쓰레기화 된것이 있기도 하고. 갤러리에 뉴비를 위한 팁이 많으니 참고해서 나쁠것은 없다.
녹픽던 마이너 갤러리 바로가기. 게임플레이에 관한 글도 많이 올라오지만 녹픽던 파생 모딩도 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때 높은 완성도로 주목받은 적 있으나 개발자가 잠적해 버린 Scorched Pixel Dungeon(불픽던), 소녀전선을 모티브로 한 소녀 픽셀 던전, 명일방주를 재구성한 Roguenights, 그리고 동방 프로젝트를 모티브로한 동방 픽셀 던전, 녹픽던 번역 담당자인 코코아[]가 총기류를 모티브로 해서 제작한 어레인지드 픽셀 던전(ARranged pixel dungeon) 등의 게임이 이곳에서 개발되고 있다. 현재는 녹픽던의 없데이트로 인해 모딩작이 더 인기가 높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본판 픽던에선 1.7.4 패치때 추가된 내구도 사항이 이 Shattered Pixel Dungeon에는 추가되지 않았다. 본판은 내구도가 있는 대신 인챈트 스크롤이 간혹 자연적으로 떨어져있지만 이 픽셀 던전에는 없다. 즉, 본판은 업그레이드의 타이밍이 제한되는 대신 총 업그레이드 레벨과 인챈트 선택의 기회가 늘어났다고 하면, Shattered Pixel Dungeon에선 업그레이드 타이밍은 자유로우나 총 업그레이드 레벨은 원본보다 좀 낮은 편이다.
업데이트를 거듭하며 원래 픽셀 던전과는 상당히 다른 게임이 되었으며, 원작 픽셀 던전에 추가된 내구도 업데이트 이후로 많은 픽던 유저들이 이 게임으로 넘어왔고, 현재는 원본보다 훨씬 인기가 많은 청출어람의 대명사가 되었다. 원작의 요소에 대한 정보를 보려면 픽셀 던전을 참고하도록 하자.
부담없고 간편한 모바일 유저 친화 최적화로 인하여 버스든 지하철이든 언제 어디서나 할수있고, 그래픽 타일이 여러 프레임으로 살아있는 유일한[6] 고전 로그라이크 게임이라 시각적으로도 입문하기 편하다.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낮아서[] 국내에서도 플레이어가 많은 편. 해외에서는 주로 레딧[]에서 플레이어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간혹 베타 버전 신청하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들이 있는데, 플레이스토어 녹픽던 페이지로 들어가서 아래를 찾다보면 베타 테스터 되기 버튼이 있다. 그걸 누르면 끝. 특히 베타 버전에서 시험중인 내용(특성 관련 업데이트 등등)은 대부분의 피드백을 개발자 Evan이 관리자로 상주하는 픽셀 던전 공식 레딧과 디스코드, Patreon에서 받으므로, 베타 버전에서 뭔가 이상하다 싶은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자.
0.8.1 버전 이후로는 적극적으로 실력있는 아티스트들의 외주도 넣었다. 게임 퀼리티가 상승한건 덤.
게임 난이도
녹픽던은 정통파 로그라이크로만 따지면 난이도가 가장 쉬워서 입문용으로는 아주 적합한 게임이다.[] 이러한 이점 덕분에 분명 녹픽던을 즐긴 사람들은 위 문단에도 나와 있듯이 진작 고갤때 다 즐긴거 같다는 생각이 많지만 여전히 뉴비가 많이 오는 상황. 극단적으로는 구버전 돌죽 미노광 3룬클보다 녹픽던 0.8.0 버전 이전의 도적 7챌클이 더 쉽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정리하자면, 초보자가 입문하기에는 이것만한 작품이 없으나, 고수들에겐 고난이도 컨텐츠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수 있다.
게임 시스템
다중 언어
한국어도 지원한다. 유저들이 자발적으로 번역에 참여하고 검수했기 때문에 극소수의 오타를 제외하면 상당히 자연스러운 번역 수준을 보여준다. 번역에 직접 참여하고 싶다면 번역 사이트를 방문할 것.
데이터 저장 슬롯
네 종류의 직업마다 하나씩 저장 슬롯이 있는 것이 아니라, 아무 직업으로나 플레이할 수 있는 저장 슬롯 네 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래픽
기존 픽셀 던전과 달리, 2D 그래픽이 2.5D로 변했고 깊이, 명암 묘사 등이 추가되었다.
아이템 저주
'역강화'[]의 개념이 완전히 사라진 대신, 아이템에 걸린 저주 자체가 페널티를 부여하는 역할도 겸하게 되었다
새로운 장비: '유물'
반지 칸에 착용하는 장비로, 강화의 주문서 대신 특정 행동을 통해 강화되는 특이한 장비이다.
새로운 시스템: '연금술'
연금술 솥이 포션 제작과 다트 속성 부여 뿐만 아니라 각종 유용한 소모품을 제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했다.
새로운 시스템: '특성'
각 직업마다 4개의 비활성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레벨업을 할 때마다 특성 포인트를 얻을 수 있고 레벨 2~6 동안 얻는 5개의 특성 포인트를 사용해서 특성을 활성화하거나 한번 더 레벨을 올려 강화할 수 있다.
0.9.1 버전에서는 7~12레벨에서 2티어 특성 포인트를 6개 얻고 각 직업 별 5가지 특성을 찍을 수 있다.
0.9.2 버전에서 13~20레벨에서 얻는 포인트로 얻을 수 있는 3티어 특성이 추가되었다. 이 특성들은 10층에서 텐구를 쓰러뜨리고 전직을 하지 않으면 드러나지 않으며, 각 직업마다 공통된 2가지 특성과 세부 전직 별 특성 3가지, 총 5가지의 특성에 8개의 특성 포인트를 투자할 수 있다.
0.9.3에서는 기존의 각 직업별 전용 갑옷이 각각 3가지 능력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추가로 숨겨진 방법으로 얻는 13번째 능력도 생겼다. 이에 따라 각 능력별로 3가지 특성과 공통적으로 능력 사용 시 충전량을 줄이는 특성으로 4가지 특성에 21~30레벨에서 얻는 10개의 특성 포인트를 투자하는 4티어 특성이 추가되었다.
데일리 런
3.0 버전에서 추가된 시스템. 매일마다 한번씩 도전 가능한 던전으로 모두가 같은 시드를 기반으로 플레이하는 모드.
시드 고정
3.0 버전에서 시드에 관련된 시스템을 고치면서 추가된 기능. 영문 9자리[] 시드를 집어넣고 대부분의 요소가 고정되어있는 플레이를 할수있으며 시드고정으로 플레이한 기록은 랭킹에 남지 않는다.
게입 팁
초반팁
전사: 부러진 인장이 있는 갑옷에 강화의 주문서를 하나 사용하자.
마법사: 마법사의 지팡이에 강화의 주문서를 하나 사용하자. 하지만 생존성이 부족하므로 2티어 무기나 가죽갑옷을 하나 구하자.
도적: 그림자 망토가 있어서 생존에 유리하다. 그림자망토는 많이 사용하면 강화 된다.
사냥꾼: 강화의 주문서 하나를 마법부여의 주문서로 만들어서 마법부여를 하자. 생존성이 부족하므로 2티어 무기나 가죽갑옷을 하나 구하자.
운용
안정적으로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계층보다 한등급 위의 무기 방어구를 착용해야 한다. 무기, 방어구 마다 등급이 있는데 등급당 힘요구도가 2씩 증가한다.
힘의 물약은 힘스텟을 증가시키며 계층마다 힘의 물약 2개를 확정적으로 드랍한다. 힘의 물약 2개를 마시면 한단계 높은 등급의 장비를 쓸 수 있다.
강화의 주문서는 장비의 힘 요구도를 낮출 수 있다. 정해진 강화수치를 넘길 때마다 힘 요구도가 1씩 감소한다. 여기서 말하는 정해진 강화수치는 +1강, +3강, +6강, +10강이다. 그리고 계층마다 강화의 주문서 3개를 확정적으로 드랍한다.
기본적인 운용은 힘의 물약 하나를 마시고 한 등급위의 강화된 장비를 구하는것이다. 갑옷의 경우 "3.1. 턴 인디케이터로 갑옷 강화 여부 식별하기"를 이용해서 무기의 경우 "기습공격"을 이용해서 혹은 다른 방법으로 강화된 장비를 구하고 강화의 주문서는 아끼다가. 4,5등급의 무기와 장비에 강화의 주문서를 몰아줘서 클리어를 하게 된다.
게임 버그
점멸의 돌을 공간이동 함정이나 미명초 위로 던져 2회 연속 순간이동할 경우 플레이어와 시야는 정상적으로 랜덤한 위치로 이동되지만 플레이어의 그래픽이 점멸의 돌 착탄 지점(함정/미명초 위)에 남는다.#
공간이동 함정 위에 아이템을 던져 이동시켰을 때 아이템이 현재 게임 화면 내에 떨어질 경우 이동 지점이 시야 밖이라도 아이템이 떨어지는 모습이 보인다.
게임 플레이에는 전혀 지장이 없는 아주 단순한 버그로, 21층에서 22층을 내려갈 때 해당 지역의 설명문이 나오지만, 낭떠러지를 통하여 내려갈 경우 이 설명문이 나오지 않는다.
플레이어가 폭발, 마비, 또는 움직이는 석상이 들고 있는 음침한 마법의 무기로 사망할시, 그 게임의 모그가 뜨지 않는다.
해당 층에서 긴 시간동안 잠수를 타면 물 타일의 스프라이트 움직임이 이상해진다. 다른 층으로 간 후 다시 돌아오면 풀려있다.
몬스터가 낙석 함정 대미지로 인해 마비와 동시에 죽을 경우 사망 모션이 나오지 않고 선 자세 그대로 페이드 아웃돼서 사라진다. 경험치, 아이템 드랍이나 충돌 판정 등에는 이상이 없다.
정원에 진입해서 그림자 숨기 상태가 부여되어있을 때, 투명화나 은신 효과를 자신에게 부여하면 투명화/은신 지속 시간이 끝날 때까지 그림자 숨기 상태가 유지된다.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dless Legend 게임소개 (0) | 2022.10.11 |
---|---|
전진 키노피오대장 게임소개 (0) | 2022.10.10 |
Chaos Child 게임소개 (0) | 2022.10.08 |
필라스 오브 이터니티 게임소개 (0) | 2022.10.07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게임소개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