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픽 스토어 독점 기어박스 회장 랜디 피치포도의 언행
보더랜드 트위터에 올라왔다가 삭제된 영상이 있었는데아카이브 영상 왼쪽 아래에 에픽이라는 마크가 있어서 에픽 스토어 독점이 될 것이라는 불길한 루머가 돌고 있다. 이에 관한 기어박스 소프트웨어의 회장인 랜디 피치포드의 응답은 퍼블리셔인 2K에 문의하라면서 에픽 스토어 독점은 짧은 기간[A]이라면 괜찮은 편이고, 멀티 플랫폼이 전제이며 크로스 플랫폼은 에픽에게 달려있다고 말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이후 나온 공식 발표 트레일러로 에픽 스토어 6개월 독점이 확정된 이후 반동으로 현재 공식 발표 트레일러의 비추천 수는 치솟는 중. PC로 하는 사람은 일단 반년 기다리고 스팀으로 하겠다는 반응이다. 그리고 콘솔을 가지고 있는 유저는 콘솔로만 하겠다고 말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랜디 피치포드는 2018 E3에 정보를 공개한다 했지만 "우린 어떤 놀라움을 선사한 게임처럼 기대를 저버리지 않겠다."는 디스와 함께 공개를 연기했으나, 에픽 스토어 독점으로 확정된 이후 '하프3 나오면 보더3 더 빨리 내놓겠다'란 유저 불만을 파악하지 못한 랜디의 트윗으로 인해 유저들의 불만이 치솟았고 이는 시리즈 전체에 평점 테러를 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후 개선된 스팀 평가 시스템을 가진 스팀의 처리방식에 불만을 가진 랜디 피치포드가 에픽으로 가길 잘했다란 트윗을 올리면서 기어박스에 대한 평판은 한없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인데 아예 유저와의 전쟁을 선포했는지 '음모론을 신봉하는 사람'이라는 유저를 빡치게 만드는 트윗을 올리면서 법적 분쟁과 함께 기어박스의 이미지를 깎아먹는데 일조하고 있다.
나중에 왜 에픽 스토어를 선택했는지에 대한 여러가지 응답을 내놨다.번역본 이걸 본 유저들은 랜디의 뇌피셜에다 근거없는 편파적인 발언, 2K에 건의 한번도 안 하는 골방 공돌이같이 군다는 등 하나같이 냉담하다. 더군다나 에픽 스토어가 메가 세일을 한다면서 보더3를 세일 항목에서 제외하는 대신 아예 예약구매 자체를 불가능하게 막아놓으면서 세일 시작 이후에 사려고 하는 유저들에게 빅엿을 먹였고 정식발매 전날에 예약구매를 한 사람들에게 프리로드를 하지 않겠다는 말을 했지만 9월 13일이 되기 전에(오전 0시 정각에 발매, 한국이 이보다 8시간 더 늦게 발매된다.) 프리로드를 진행할거라고 말을 바꿨다.
평가 항목에서 서술된 발매직후 일어나는 프레임 드랍 및 렉, 튕김현상에 대해선 일절 언급하지 않고 "보더2보다 2배 더 많은 유저 수를 확보했다."란 자뻑성 멘트를 해버리는 바람에 유저들이 별점을 0~2점을 주는 평점 테러를 가해 유저 평점은 낮게 나오고 있다. 여기에다 보더3를 환불한 후 에픽 스토어 런처를 삭제했는데도 설치 디렉토리에 그대로 남아있어 평생 공짜로 플레이할 수 있다는 사실이 레딧을 통해 알려지면서 DRM도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복돌이 양성에 힘쓰는 에픽 스토어를 한 마음으로 까고 있다.
어찌되었건 에픽과 랜디 피치포드의 행적으로 미뤄 보더랜드 3를 콘솔로 할 유저들이 좀 늘어갈 것 같다는 반응이 있지만 콘솔판의 크로스 플레이 계획은 없어 따로 놀아야 했는데 PC판은 에픽 스토어와 스팀간의 크로스 플레이 계획이 생겨 사정이 나아질 것 같지만 그간 에픽 스토어의 행보를 미뤄볼때 에픽 스토어 유저는 배척당할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성우와 랜디 피치포드 간의 법적 공방전
클랩트랩 성우 교체와 관련해 전 클랩트랩 성우와 기어박스 CEO 랜디 피치포드간에 공방전이 있었다
BoycottBorderlands 3
최근 보더랜드 3가 공개한 "트위치 연결" 및 "트위치 게임 플레이 기능"에서 공개된 트위터 계정이 있었는데[41] 이를 팔로우한 SupMatto가 현재 배급사인 테이크 투 인터렉티브에 의해 디스코드 계정을 정지당하고 유튜브 채널이 저작권 침해로 신고를 받았다.
"SupMatto"라는 보더랜드 유튜버는 근래 들어서 보더랜드 3에 대한 가장 빠르고 정확한 정보들을 배포하는 것으로 유명했었다. 공식 발표보다 빨리 공식 발표의 내용을 포함한 루머를 유출하는 것이 특징이었는데 최근 보더랜드 3의 배급사 즉 테이크 투 인터렉티브의 사립 조사원에 의해 조사를 받았다. 말하자면 일종의 고용된 탐정들인데, SupMatto의 개인 사유지를 침범하고, 약 40분 가량 보더랜드 3의 유출에 대해 조사했다고. 이후, SupMatto의 디스코드 채널 및 계정은 해킹 및 부정행위로 정지를 당한다. 현재 배급사인 테이크투 측은 자신들은 게임에 관한 정보가 유출되면 그에 대응 및 유출된 정보를 제공한 사람과 그 것을 공개한 사람 등 연루되어있는 사람에게 책임을 물게 할 것이라고 게임 뉴스 업체인 IGN을 통해서 기사를 냈다. 여기까지만 보면 배급사가 사설탐정까지 고용해가면서 죄 없는 유튜버를 물어죽이는 행태로만 보이나...
테이크 투가 공개한 바 유튜버 SupMatto가 유출 정보를 개발사 끄나풀을 통해 공급받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디스코드 체널에서 돈을 주고 거래했다고 한다. 5달러 짜리 맴버십에 가입하면 새로운 보더랜드 정보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거래를 했다고 하는데, 까놓고 말하자면 이건 그냥 도둑질이랑 똑같은 범죄행위다. 생각해보라. 내가 개발한 것도 아닌 게임의 정보를 몰래 뒤로 빼돌려서 돈 받고 팔아먹는 행위가 범죄가 아닐 이유가 뭔가? 이 소식이 알려진 이후로 팬덤은 마냥 보이콧 보더랜드를 외치는 것에서 테이크투가 과잉대응했다, SupMatto가 제 무덤을 팠다 따위의 의견들로 갈리는 중이다. 확실한 것은 무조건적인 #BoycottBorderlands3는 더 이상 주류 의견이 아니다. 오히려 무분별한 SupMatto 쉴더들이 판을 망치고 있다는 의견마저 튀어나오기 시작했다.
사건 이후 SupMatto 본인은 해명영상 하나만을 내놓은 채 잠적했으며, 구독자들의 우려 가운데 8월 15일 결국 SupMatto의 유튜브 채널은 삭제된 상태이다.
정치적 올바른 논란
보더랜드 시리즈는 사실 처음부터 정치적 올바름을 중시해왔던 시리즈였으며, 이 부분을 무리없이 잘 소화해왔지만 본작부터 이 점이 과도해져 이제 더 이상 과도한 정치적 올바름과 지나친 성적 다양성 강조 논란에서 예외는 아니게 되었다.
여성 캐릭터 편애?
우선 릴리스, 패트리샤, 아바, 타이린 칼립소까지 스토리를 이끌어 나가는 모든 인물이 여성이다. 심지어 몇 나오지도 않는 남성 등장인물들 중 해머록 경과 웨인라이트 제이콥스는 공식적으로 동성애자이고, 카타가와는 리스에게 마치 얀데레처럼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본(보더랜드 시리즈)은 바보이자 나르시스트이고 트로이 칼립소는 비굴한 찌질이다. 즉, 그 흔한 평범한 이성애자 남성 한 명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반론
하지만 위의 서술에 관한 반박도 있다. 보더랜드 3의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등장인물들이 대부분 여성들인건 스토리의 주제가 사이렌이기 때문이다. 원래 여성들로만 이루어진 능력자들인 사이렌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가는 만큼 여성들로 스토리가 이루어지는 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애초에 대부분의 주연 캐릭터가 여성이라고 해서 비난을 받는 것이 정상은 아니다..) 또한 똘끼 넘치는 인간들은 보더랜드 시리즈에서 단골로 나오며 이번작에서도 위에 문단의 남자들은 정상적이지 않게 나왔다는 주장은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테니스와 타이린의 싸이코적인 모습으로 반박 가능하다. 이번편에 리스, 타이폰, 클레이 등 정상적으로 나온 남자들도 있기 때문에 위에 남자들은 비정상적으로 나왔다라는 서술은 약간 억지에 가깝다. 찌질이라고 서술된 트로이도 원래 소극적인 성격에 타이린한테 자신의 목숨이 달려있어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끌려다녀야하는 상태였다. 에덴-6에서 이러한 관계가 잘 나타나는데 동등하게 지내고 싶으나 자신이 기생충이라는 이유로 타이린한테 무시당하고 자신이 볼트 헌터들을 골리려고 할때 마다 타이린이 정색하며 자신을 저지하는 등의 행동거지로 인해 열등감을 지녔고 타이린과 동등한 수준까지 힘이 강해진 뒤에는 본인이 주도적으로 행동을 하게된다. 특히 이후 스토리가 변경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결국에는 둘이 목적을 위해 단합하여 서로 목숨을 거는 등 높은 결속력이 있음을 보여주어 후에는 완전히 동등한 관계로 그려졌다.
주인공들의 쩌리화?
본편 스토리라인에선 컷신만 나오면 주인공 비중이 공기가 된다. 개처럼 구르는 건 여전히 볼트헌터들인데다 2편에선 컷씬 연출에서도 주인공의 존재가 무시되지 않거나 외려 존중을 받았는데[42] 3편에선 플레이어가 쩌리가 되고 NPC, 특히 주축인 여성들만 왕창 밀어주니 이런 말이 안 나올 수가 없다. 시리즈 대대로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컷신에 등장하지 않았지만 해당 상황에 캐릭터가 개입하더라도 결과가 바뀌지 않았을 필연적인 상황[43]들이 대부분이었기에 어느정도 납득이 가능했다. 하지만 본작에서는 처음에 릴리스를 습격한 것[44]부터 마야, 태니스, 최후반부에서 타이폰까지의 컷신에서 전투력이 막강한 주인공이 같이 있음에도 칼립소 쌍둥이들이 NPC들을 납치하고 살해하고 태연히 부활하는 시나리오가 진행된다. 각각의 상황에서 주인공이 개입한다면 결과가 달라질 것이 눈에 뻔히 보이는데 주인공이 배제되는 연출로 인해 개연성을 잃고 유저들의 울화통을 돋구는 것이다. 밑에 반론을 보면 기존작에서도 주인공의 컷신이 거의 없다고 지적하지만 거의 없는 것과 완전 없는것은 다른 것이다.
반론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반박의 여지가 있는데, 우선 주인공의 비중이 공기가 된다는 것도 단순히 컷신에서 플레이어가 중심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고는 하나 플레이어를 중심으로 컷신이 진행되기 보다는 인물, 혹은 보스에 대한 소개나 그들이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이 우선시되었을 뿐이고 이는 전작에서도 항상 그래왔다. 실제로 플레이어가 컷씬에서 중심이 되는 비중은 초창기부터 없다시피 했다. 또한 스토리 내내 볼트헌터의 역할과 그에 대한 존중 등은 지속적으로 보여주었으며 특히 본작에 와서는 플레이어 캐릭터가 직접 대사를 외치는 일이 많아져 실질적인 비중은 여태껏 중에서 가장 높아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윗 문단에서 2편에선 플레이어들이 직접 컷신의 파트가 되었다고 서술하고 있는데 2편에서 보스/케릭터 소개 컷신이 아닌 컷신들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즉, 위의 서술에서 예시로 든 컷신 2개는 보더랜드 2에서의 예외적 컷신이라고 보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2편의 메인 스토리에선 진행되는 스토리들 사이에 끼여 거의 심부름하는 포지션이였던 주인공이 3편에서 직접 메인 케릭터들과 대화하는 주인공보다 더 스토리의 중심축이기는 어렵다.
지나친 성소수자 요소?
성소수자 요소 역시 전작과 비교해 많이 증가해서, 2편에서는 지나가는 말로 게이 언급이 나오던 해머록 경은 3편 내내 웨인라이트랑 엮이다가 DLC2에선 아예 엔딩에서 대놓고 키스신을 찍었다. 프리-시퀄과 테일즈 프롬 보더랜드의 아테나-제이니 스프링스 커플도 이 정도로 노골적인 애정 행각은 보여주질 않았다. 아무리 성소수자에 대한 존중을 해야 한다고는 하지만, 그렇지 않은 다수자들 중에선 불쾌감을 느껴도 이상하지 않을것이다. 당장 지하철 지나가다 이성커플이 진한 애정 표현만 해도 불편하다는 눈치인데, 익숙하지도 않을 동성커플의 키스씬을 모니터 한가운데 아주 크게 잡아버리니 불쾌감을 줄 확률이 높은 것이다.
기어박스 포럼 정치적 올바름 강요 논란 (관련 기사)
8월 12일부터 보더랜드 3 공식 포럼에서 캐릭터 투표를 진행했다. 본작 주인공의 선호도 투표와 짧막한 감상평을 덧글로 달 수 있었는데 문제는 'Tokesy97'이란 닉네임을 가진 관리자가 "FL4K의 대명사는 '그들(They/Them)'이라 호칭하겠다."라고 말하면서 "'그(He)'라고 부르면 제재를 가하겠다."라는 황당하기 그지없는 말에 고개를 기웃거렸다. 이는 기어박스 소프트웨어가 보더랜드 3 포럼 관리자에게 FL4K에게 특정한 성별을 붙이지 말고 중립적으로 표현하라고 말한 부분을 받아들인 셈이다.
이게 화근이 되어서 대부분의 유저들은 FL4K을 남성으로 봤는데 갑자기 관리자가 PC질을 해 성별 표기에 제한이 걸렸다고 아우성을 쳤다. 이윽고 FL4K에게 PC를 넣는게 올바르냐고 토론을 펼쳤고 이내 해당 스레드에서 캐릭터 투표는 뒷전인 채 PC에 관한 토론글로 가득해졌다. 결국 관리자는 투표와 관련없는 이야기를 한 후 투표를 종료시킨 것으로 사건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정작 독일 오피셜 웹사이트에선 FL4K를 남성 인칭대명사인 'er'로 지칭하고있어 비웃음을 샀다.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널 판타지 14칠흑의 반역자 게임소개 (0) | 2020.10.18 |
---|---|
보더랜드 3 게임 전설권총소개 (0) | 2020.10.17 |
보더랜드 3 게임 평가 (0) | 2020.10.17 |
보더랜드 3 게임소개 (0) | 2020.10.17 |
앤섬(ANTHEM) 게임 재블린 엑소슈트 소개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