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출시된 가상의 중세풍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한 턴제 전술 인디게임.
난이도 조정이 가능한 게임이지만 기본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편에 속하는 게임으로, 하드코어한 세계관과 자비없는 난이도가 합쳐져서 중세 다크판타지 세계에서 용병단장이 된 기분을 만끽 할 수 있는 게임이다.
배틀 브라더스 게임 진행 팁
아머와 HP 데미지의 상관 관계
d100 주사위를 돌려 (1~100 사이의 랜덤한값을 얻는다) 그 결과가 공격시 표기되는 적중률%의 아랫값이라면 적중성공이다. 여기서 한번더 d100 주사위를굴려 캐릭터의 헤드샷확률을 계산한다.(예: 표기 적중률 78%에 헤드샷률 25%의 캐릭터가 공격을 한다치면 1. 다이스값 72 = 적중! 2.적중했으므로 헤드샷확인 다이스값 72 = 실패! 고로 body 몸을때린다 ). 강철머리 퍽을 적용한 용병은 머리에 맞았을 때의 추가보정을 모두 없앤다.[1]
사자(死者)가 아닌 적이 머리를 맞게 되면 'HP'데미지 계산시 +50% 보정이 있다. 아머값엔 적용되지않는다.
만일 아머가 0인(원래 안입었다던가 아머가 걸레짝이 되었다던가)적에겐 무기(+기술 보정)의 데미지가 고스란히 들어간다.
(예: Greatswords(85-110)의 Overhead Strike엔 +20데미지 보정이있다.)
만약 아머수치가 있는 상태라면 아머에 데미지가 먼저 들어간다(기본데미지X무기별 아머보정) 그후 HP에 ((기본데미지X 방어관통보정)-현 남은 아머값의10%)만큼의 데미지를 가하게된다.
예시로서 Billhook으로(폴암류 베기공격무기) 머리400/몸통400아머의 A에게 헤드샷을 성공할시
Billhook (55-85 기본데미지)
30% 방어구 무시 피해 → (16.5-25.5 사이의 방어구 무시 데미지)
130% 방어구 대상 효율 (71.5-110.5 사이의 방어구 데미지)
A의 머리에 데미지가 들어감(critical hit), +50% 데미지 보정이있음
주사위값이 100의 방어구 피해와 24의 방어구 무시 피해값으로 결정되었으며 헤드샷이므로 24→36(소숫점 버림)값으로 증폭됨
결과: 머리 방어구에 150의 방어구 데미지가 들어갔으며 250의 방어구량이 남음
A는 36 - 25(남은 아머량의 10%) = 11의 생명력 피해를 입게된다.
번외: A가 Nimble 특전이나 Steelbrow 특전을 가지고 있으며 nimble이 발동했을시
치명타가 터지지 않고 생명력 피해가 40%(투구, 갑옷 피로도 패널티 합이 15이하 일때)로 떨어지게 된다.
100의 방어구 데미지와 24의 방어구 무시 데미지(위의 첫 예시 결과와 같은 범위의 데미지라 전제하였다)
머리방어구에 100의 방어구 피해가 들어갔으며 300의 방어구량이 남음
A는 24-30(남은 아머량의 10%) = 0 의 체력 데미지를 입게된다.
이것이 극후반 레전더리갑옷인 aspect of Davkul 세트를 갖춰입은 Nimble+Duelist 캐릭터가 혼자 적진에 잠입하여 살아남을수있는 이유이다
무기/ 방패 내구도가 줄어드는 경우와 방식
무기/방패의 내구도는 매우 중요하다 항상 확인해주는 습관을 들이자 힘겹게 얻은 Famed급 장비들이 내구도가 0이되면 묻지도 따지지도않고 영원히 파괴되어 사라지기 때문이다.
무기는 매 타격(광역공격은 맞은적수만큼 계산)마다 내구도 체크를 하게되는데
철제(단단한재질) 방어구 4 내구도 소모
가죽제 방어구 2 내구도 소모
맨살(HP데미지만 주었을경우) 0의 내구도 소모 (이것이 단검 Puncture 노가다가 가능한 이유이다 본인의 무기 내구도가 달지 않으며 적의 방어구 내구도를 고스란히 유지시켜 비싼 전리품들을 얻을수있기 때문)
방패의 내구도는 각 무기별로 있는 방패 파괴기술에 맞을시 지정된 수치만큼 떨어지며 투척무기중 Javelins 과 Throwing Axes의 일반 타격에도 내려간다. 또한 방패방어가 뜰시에도 1씩 떨어진다.(회피하는 모션이 아닌 방패로 띡하고 막아내는경우)
Bow 나 Crossbow 는 매 발사마다 4씩 내구도가 소모된다(Hit나 miss에 무관)
배틀 브라더스 게임 평가
출시 당시 스팀 사용자 평가에서 92% 긍정적의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수작 턴제 전략 게임으로 인디 게임 커뮤니티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출시 후 상당한 시간이 흘렀으나 2020년 7월 기준 스팀 사용자 평가는 88%로 좋은 평가를 유지하고 있다.
출시 직후 제작진이 차기작 개발에 전념하기로 하며 한동안 업데이트가 없어져 버려진 게임처럼 취급되었으나, 제작진의 예상 이상으로 게임이 크게 성공하자 다시 관리를 시작했다. 린드웜 DLC를 무료로 제공한 것을 시작으로 야수와 탐험 DLC, 북방의 전사들 DLC, 불타는 사막 DLC를 연이어 출시했고, 살점과 믿음 DLC를 무료로 배포하는 등 지속적으로 컨텐츠가 추가되었다.
다양한 무기와 퍽, 적들이 등장하며, 샌드박스형 게임치고 상당히 다채로운 컨셉 플레이가 가능하고 여러 이벤트들이 있기에 몰입도가 상당하다. 어려운 난이도만큼 도전 욕구를 자극하는 점도 게임의 주요 매력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림월드, 마운트 앤 블레이드 등 다른 명작 인디 게임들이 스팀 창작마당을 통한 모딩 활성화 덕에 대성공한 면이 큰데, 배틀 브라더스는 하드코딩된 부분이 많아 모딩이 별로 활성화되어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다. 별다른 모드가 없는 탓에 사실상 모든 후반위기와 전설 던전을 클리어하고 나면 컨텐츠가 고갈되어 기존과는 다른 여러 빌드로 용병을 육성해보는 파고들기말고는 해볼 것이 없다. 제작진이 겨우 5명[], 그 중에서도 프로그래머는 단 1명의 소규모 팀인 관계로 하드코딩 문제를 해결해주리라고는 팬덤에서도 별로 기대하고 있지 않은 상황.
또, 현재 배틀 브라더스의 컨텐츠는 DLC가 5개씩 나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양적으로 많다는 느낌을 주진 못한다. 전투의 반복과 의뢰 수행을 통해 용병단을 육성하고 장비를 파밍하는 게 게임의 전부라면 전부. 물론 호평을 받는 전투와 육성의 기본 틀은 매우 훌륭한 게임이지만 그걸 반복하도록 받쳐주는 부가 컨텐츠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장비 파밍도 아이템 체계가 아주 복잡하지 않으며, 디아블로처럼 아이템 종류나 옵션이 많은 게임은 아니라 오래가는 컨텐츠로 볼 수는 없다. 전투 그 자체에 꽃혀서 끝없이 게임을 리셋하며 레벨을 올리는데 열중하는 일부 유저, 혹은 아주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하는 전설적인 던전 컨텐츠를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엔딩으로 간주되는 첫번째 위기를 클리어한다고 치면, 길게 잡아 100 시간 정도면 끝을 보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몬스터나 장비 아이템 추가, 탐험 이벤트를 추가 해주는 전투 관련 마이너 업데이트만 있었고, 영지 경영이나 봉신 제도, 정복전쟁 같이 게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근본적인 업데이트는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 단적으로 말해 DLC를 모두 설치한다 해도 도시를 왕복하면서 몇개 안되는 패턴의 의뢰를 수행하고 강도나 용병을 때려잡기를 끝없이 반복하는 게임의 단순한 양상 자체는 전혀 바뀌지 않는다. 그나마 불타는 사막 DLC에서 직업, 아이템 추가 외에도 지역, 팩션 추가, 투기장의 추가, 후반위기 추가 등으로 굵직한 컨텐츠가 보강되었고, 살점과 믿음에서 용병 강화와 서약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플레이의 다채로움은 증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DLC들이 게임의 근본적인 메커니즘 자체에 변화를 준 것은 아니며, 기존 시스템 및 컨텐츠에서 새롭게 추가된 부분은 별로 없다. 즉, 배틀 브라더스는 이미 완성된 게임이며 지역을 오가며 산적과 몬스터를 썰어가며 육성하다가 후반 위기를 극복하고, 또 육성을 하다가 위기를 극복하고, 심심하면 전설적인 장소에 도전하는 것으로 게임을 마치는 종류의 스타일은 거의 고정된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해 줄, 배틀 브라더스의 대형 모드라고 할 만한 것은 레전드 모드 하나 정도인데, 그래픽 상 바닐라 컨텐츠와의 이질감이 너무 커서 호불호가 조금 갈리는 모드이다. 스팀 창작마당이 지원되지 않아 설치가 번거롭다는 것도 단점. 그래도 캠핑 활동과 여성 용병, 마법 사용 등 추가되는 컨텐츠들의 양이 많아서 원판의 얕은 플레이에 질린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레전드 모드에 대해 알고 싶다면 레전드 모드 위키를 참조해보는 것이 좋다. 다만 위키이기 때문에 내용이 완전하지는 않다. 현재 넥서스 모드의 버전은 작동되지 않는 구 버전이고, 신규 버전은 여기서 업데이트 중이다.
인지도가 낮은 게임임에도 국내 커뮤니티가 꽤 활성화된 편이다. 배틀 브라더즈 마이너 갤러리는 상주 인구수에 비해 글리젠률이 상당히 높으며 질문도 잘 대답해주는 편[]. 어떤 빌드가 더 좋은지에 대한 토론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배틀 브라더즈 마이너 갤러리에서 본편의 한글패치와 레전드 모드의 한글패치를 찾을 수 있다. DLC에서 추가된 퀘스트나 장비 명칭을 제외한 기본적인 문장들은 한글화가 거의 되어 있는 편이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고 있다.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서지(The Surge) 게임소개 (0) | 2023.03.01 |
---|---|
데이 오브 인퍼미(DAY OF INFAMY) 게임소개 (0) | 2023.02.28 |
레이드 월드 워 2(RAID: World War II) 게임소개 (0) | 2023.02.26 |
Rain World(레인 월드) 게임소개 (0) | 2023.02.25 |
Nun Massacre 게임소개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