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정보

오토 체스 게임 소개

뤼케 2021. 4. 18. 20:02
728x90
반응형

2019년 초 선풍적인 인기를 끈 DOTA AUTO CHESS를 제작한 드로도 스튜디오에서 스탠드얼론으로 발매한 게임.
현재 모바일로 출시되어 있으며, PC에서는 에픽게임즈 스토어 독점으로 출시되었다.

 

 

게임 모드

초보자 - 기본적인 룰에 익숙해지기 위한 일종의 연습 모드이다. 4인이 대결하며, 체스 기수 생명력이 60에 불과하고 크립 라운드가 적어 승부가 빨리 결정되는 편이다. 또한 체스 기수 레벨에 따른 체스말 등장 확률이 다른데, 높은 등급의 체스말이 등장할 확률이 높아 초반에도 높은 등급 체스말을 쉽게 뽑을 수 있다.


튜토리얼 - 단계 별로 진행 방식을 배우면서 진행하는 모드이다.


클래식 - 기본적인 룰을 그대로 사용하는 모드로 클래식 모드들에서는 배틀 패스 미션 수행과 도감 수집이 가능하다. 각각 솔로와 듀오로 나뉘어져 있다.


캐주얼 - 시즌 랭킹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에 특정 조건을 요구하는 배틀 패스 미션은 캐주얼 모드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랭크 - 순위에 따라 랭킹 점수가 오르거나 떨어지게 된다.


듀오 - 판타지 모드의 룰 중 하나였던 듀오를 정식 모드로 편입시킨 것으로, 2명이 한 팀이 되어 총 4팀이 승부를 겨루는 모드이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필드 위에 있는 체스말 중 2개를 같은 편과 공유[3]해서 사용할 수 있다. 체스 기수 생명력은 공유된다.


터보 - 오토배틀러 장르 게임의 가장 큰 단점이 게임 시간이 길다는 것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즌 4에 추가된 모드이다.[4] 게임의 룰을 클래식보다 룰을 간소화하고 게임을 스피디하게 만들기 위해 여러 요구량(레벨업, 기물 수 등)들이 감소했기 때문에 전략보다는 전투에 집중할 수 있다.


판타지 - 매주 다른 특별한 룰이 적용된 상태로 플레이 가능한 기간 한정 모드이다. 게임을 플레이하게 되는데 대부분 운의 요소가 기본적인 룰보다 훨씬 강화된 경우가 많다. 하스스톤의 선술집 난투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보인다.
커스텀 - 위 모드와는 별개의 시스템으로 직접 방을 만들어 다른 플레이어를 초대하거나 AI 체스 플레이어를 추가해서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다.

 

 

랭키

몇 주에 걸쳐 한 시즌이 열리며 이 기간 동안 랭킹 모드로 플레이하면 랭크 점수[5]가 변동된다. DOTA AUTO CHESS와 달리 폰 구간이 아닌 이상 한 게임 승패로 랭크가 달라지는 정도는 아니고 룩 등급 기준 1등과 8등을 하면 약 20여점이 오르거나 떨어진다. 각 등급에서 0점 미만이 되면 이전 등급으로 강등되며, 100점 이상이 되면 이후 등급으로 승급한다. 승급할 때는 추가 점수를 받기 때문에 승급하자마자 꼴등한다고 바로 강등되지는 않는다.

랭크는 폰 - 나이트 - 비숍 - 룩 - 킹 - 퀸 순서로 올라가고, 폰~룩까지는 가장 낮은 1단에서 가장 높은 9단까지 올라가게 되며, 킹은 1~3단, 퀸은 단수 없이 점수로 순위가 결정된다.

시즌 중 '일정 등급 이상 달성' + '특정 등수 N회'[]를 하면 시즌 특전 체스 기수 스킨을 받을 수 있다.

시즌이 종료되면 시즌 중 기록한 최고 랭크에 따라 보상을 받게 되며, 룩 이상을 달성한 플레이어는 해당 등급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필 테두리를 받을 수 있다. 퀸 등급 달성 플레이어는 여기에 추가로 아바타를 받게 된다.

기본 랭크와는 별개로 우승(1위) 횟수로만 집계되는 우승 랭크와 배틀 패스 레벨 랭크도 존재한다.

 

배틀 패스

시즌 기간 내에 배틀 패스 등급을 올리면 각 등급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배틀 패스 점수를 올려서 배틀 패스 등급을 올릴 수 있는데, 배틀 패스 점수는 매주 추가되는 주간 미션을 달성하거나 일일 보상, 게임 플레이로 얻을 수 있다. 이때 미션 달성과 게임 플레이로 얻는 배틀 패스 점수는 모드 중 일반/랭킹 모드에서만 가능하다.

배틀 패스 보상은 일반과 고급으로 나뉘며, 일반 보상은 누구나 받을 수 있고, 고급 보상은 고급 패스 구매자만 받을 수 있다. 일반 보상은 보상이 없는 등급도 있고, 보상의 대부분이 캔디와 부스터 종류인데 고급 패스는 모든 등급에서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보상도 다양하다. 정규 시즌 기준 일반 보상은 50등급까지 보상이 주어지며, 고급 보상은 등급이 올라가는데로 받을 수 있지만 81등급부터는 패스 쿠폰[7]만 주기 때문에 실질적인 보상 등급은 80등급까지이다. 고급 패스의 경우 할인없이 구매하면 14,300 원 정도인데 이러한 보상 차이 때문에 돈값은 하는 편이다.

주간 미션의 경우 매주 10개의 미션이 나오는데, 일반의 경우 7개의 미션을 달성할 수 있다. 고급의 경우 여기에 추가로 3개의 미션을 달성할 수 있고 이 고급 미션은 보상 패스 점수가 훨씬 높다. 주간 미션의 경우 해당 주에 7개의 미션을 달성하면 랜덤 아이템이 들어있는 신비한 보물함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무과금 유저들에게는 보물함을 주기 싫은 건지 시즌을 거듭할수록 미션 난이도가 어려워지고 있다.

일반의 경우 빡빡하긴 하지만 마지막 보상 등급인 50등급까지 미션 완료와 게임 플레이로 달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주간 미션을 일정 이상 달성해야 하는 시즌 미션의 경우 20개를 달성해야 시즌 졸업 기념 아바타를 받을 수 있는데, 일반으로는 달성이 불가능하다.

 

 

게임 문제점

시즌 5의 문제점
이전에도 문제가 없던 게임은 아니었지만 2020년 4월 28일에 시작된 시즌 5에서 아래 문제점들이 대폭발하면서 이용자들이 급속도로 감소했다. 이후 시즌 6에서야 어느 정도 개선이 되었다.


무너진 밸런스
이전에도 6워4비, 빙하 나이트, 4언데드 + 파멸자, 조류족 등 이른바 강점기라 불리는 특정 덱 강세가 있어왔지만 시즌 5에서는 키라족(+ 고블린족)과 신족 조합이 메타 전체를 잡아먹으면서 조합의 다양성이 거의 사라져버렸다. 이렇게 특정 덱이 강해 밸런스 문제가 심각하면 너프를 통해서 밸런스를 맞춰야 하지만 같이 터진 버그 사태까지 겹치면서 너프 패치는 2주 후에나 되었다. 하지만 너프도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 패치 이후에도 키라족/신족 강세가 이어졌고 추가 너프를 기대한 200605 패치에서는 전혀 너프가 없었고 오히려 키라족과 한 세트로 다니는 고블린 조합이 기계족 시너지 변경으로 사실상 버프를 받게 되면서 오히려 더 힘을 받게 되었다.


DOTA AUTO CHESS에서는 매주 밸런스 패치를 진행했던 개발사가 공식 통계에서도 해당 덱들이 점령한 것이 눈에 뻔히 보이는 상황이고 유저들로 너프 요구가 매우 강한데도 이러한 메타를 계속 유지하는 상황에 실망한 유저들이 매우 많다.


각종 버그
이전에도 자잘한 버그는 좀 있던 게임이었지만 플레이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별로 없었는데 시즌 5 패치와 함께 온갖 버그가 튀어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크립 라운드에서 아이템이 아예 안 나오는 버그는 아이템 의존이 큰 조합은 크립 라운드 선택 아이템에만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후 아이템 버그는 고쳐졌지만 그외에 다른 버그들이 범람하는 상황이고 시즌 5와 함께 나온 PC 버전 또한 버그에 시달렸다.


창렬한 게임 보상
현질을 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화폐로 캔디와 쿠키가 있는데 캔디는 수급이 어렵지 않지만 이걸로 구매할 수 있는 것들이 한정적이고 그나마도 체스 기수는 디자인이 별로인 것이 대다수이다. 쿠키는 캔디보다는 조금 상황이 낫지만 쿠키는 가지고 있는 것들을 팔아야 얻을 수 있는 화폐라 수급이 어렵다. 물론 오토 체스는 Pay to Win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구매하지 않아도 게임 플레이에는 전혀 지장이 없지만 문제는 캐쉬까지도 창렬하다는 것이다. 랜덤 박스라는 게 인기 있는 아이템은 확률이 극악인 거야 매한가지이긴 하지만 돈 주고 구매한 박스에서 위에서 별로 쓸모가 없다고 이야기한 캔디만 몇 개 덜렁 나오는 경우도 부지기수고 나오는 아이템 중 시간제[]도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체스말 스킨의 경우 3성 스킨까지 만드려면 해당 스킨이 9개 필요한데 대부분 랜덤으로 나오는 거라 돈을 많이 질러도 못 만드는 경우도 많다.


각종 잠수함 패치
사소한 패치도 게임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알리지 않고 잠수함 패치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스킬 조합에서 중요한 아이템인 펄스 지팡이의 경우 아이템 액티브 효과로 차는 마나량이 크게 감소했음에도 알리지 않았고, 갑자기 변한 체스말들의 이동 방식[] 등 문제가 되는 요소들이 많다. 여기에 버그가 많은 게임이라 이게 패치를 한 건지 버그인건지도 알수가 없다는 것도 문제이다.

728x90
반응형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바이벌 프로젝트 게임소개  (0) 2021.04.20
아이작의 번제 게임소개  (0) 2021.04.19
일랜시아 게임소개  (0) 2021.04.17
온라인 웜즈 게임소개  (0) 2021.04.16
어둠의 전설 게임소개  (0) 2021.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