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정보

온라인 웜즈 게임소개

뤼케 2021. 4. 16. 12:33
728x90
반응형

한국의 엠게임에서 개발한 웜즈 시리즈 게임으로 원작사 Team 17의 라이센스를 받아 서비스하였다.

2001년도에 웜즈 2 엔진을 개량[]해 온라인 게임화시킨 것으로 게임 진행과 무기들은 일부 무기만 빠지고 단축키가 약간 변경된거 빼면은, 사실상 웜즈 2와 똑같다. 3인 동시 로그인으로 세명이서 한 컴퓨터 앞에 앞아 동시에 플레이가 가능[2]했고 또 컴퓨터 플레이어들과도 플레이가 가능했다.

 

 

 

서비스 국가

열 웜즈 시리즈에서 호환이 잘 되었기 때문에 서비스가 종료된 지금도 한국의 플레이어들은 이 음성과 맵 파일을 빼내서 쓰고 있다. 아바타 시스템은 한국과 중국판에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원작 과의 차이점

한국어화(음성 포함)
새로운 배경음악으로 변경.
지정된 6개 모드만 사용 가능.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수량/종류 자유변경 불가능.
지정된 맵만 사용 가능. 인스턴트 맵], 맵 편집기 사용 불가능.
800*600, 1024*768 해상도 추가.
계급 시스템과 계급별 채널 추가.
웜즈2 엔진에 웜즈 아마게돈 사양을 일부 적용.
지뢰와 오일통 동시 출현 가능.
산탄형 무기 위력 약화
로프전에서 로프 무제한 연속 발사 가능[], 비파괴 지형 적용, 로프 발사각도 0도 미만 제한, 출현하는 무기 상자 1개 유지
웜즈 아마게돈, 월드 파티의 이미지 형태 맵 일부 적용 
일부 모드에서 secret weapon(융단 폭격 등)을 기본 사용 가능
폭탄전에서 웜 1마리의 에너지 300으로 적용.[](원래 웜즈2에서 200이 한계)
슈팅전 고수 채널에서 모든 무기 발사각도 30도 미만 제한
일부 조작키(점프) 변경.
아바타 시스템, 배팅전 추가.
스크린샷 캡쳐 기능 정식 추가.
게임 종료 후 배너 광고.(2002년 10월 8일에 삭제)

 

 

게임 플레이 화면

채널 종류 배팅전

채널 목록에서 오른쪽은 로프전 전용 채널들, 왼쪽은 로프전 외의 나머지(기본, 폭탄, 슈팅, 샤퍼) 채널들이다. 같은 모드라도 계급별 채널마다 지형 위의 오일통&지뢰 출현 여부, 턴 제한시간 등이 다르게 적용되었다. 기본으로 정해진 설정을 원하는대로 바꿀 수 있게 되는 설정 변경 기능(유즈 룰 셋팅)이 업데이트되고 나서부터는 계급별 채널이 통합된 적도 있었다. 이 외에도 아래와 같은 각 채널의 특징이 있다.


초보 채널: 뱀 계급 미만 입장 가능. 기본 참여 원스는 5000
중수 채널: 뱀 계급만 입장 가능. 기본 참여 원스는 10만
고수 채널: 용 계급 이상 입장 가능. 기본 참여 원스는 20만
자유 채널: 계급 제한 없음. 원스의 증가와 감소가 적용되지 않는다.
패자부활 채널: 각 서버에서 요구하는 기본 참여 원스보다 갖고있는 원스가 적을 경우, 패자부활 채널에서 게임을 통하여 최대 30만 원스까지 재 충전할 수 있었다.

2002년 10월 1일 추가된 배팅전은 게임에서 자유로운 배팅을 통한 원스[] 획득이 가능하다.
배팅전은 모든 모드의 중수와 고수 채널에서만 적용이 되었고, 기본 참여 원스의 x1, x2, x5, x8, x10 중에 골라서 할 수 있다.(중국판은 x0도 있었다.)

 

 

아바타샵

온라인 웜즈의 유료 컨텐츠로는 게임 시작 전 대기실에서 보이는 아바타용 꾸미기 아이템이 있었다.(2002년 6월 3일) 시스템 자체는 엠게임 아바타와 똑같으며 호환도 되지만 온라인 웜즈의 아바타샵에서 판매하는 아바타 아이템은 온라인 웜즈에서만 구입할 수 있는 아이템들이기 때문에 온라인 웜즈의 유료 컨텐츠로 보는 것이 맞다. 캐쉬용과 원스(게임머니)용으로 구분하여 팔았었다. 아바타를 사기 위한 게임머니를 모으기 위해 게임을 지속적으로 하는 유저도 생겼었다.[] 단순하게 꾸미기 아이템을 추가한게 아니라 캐쉬용은 웜이나 무기 아이템, 계급 등을 테마[]로 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반응이 좋아 아바타 아이템 교환 모드(인터페이스 항목의 채팅창 화면 스크린샷 참조)를 따로 개발하여 추가도 했었다. 참고로 교환 시스템이 있는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이 그렇듯이 교환 사기도 존재했었다. 2002년 7월 기사에 의하면 처음 도입되고 한달 동안 400만개를 팔았다고 한다. 회원 270만명 중 1개 이상 구입한 사람은 195만명, 가장 많이 구입한 사람은 21개를 사고, 구매자중 40% 정도는 3개 이상의 의상이나 소품을 구입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초반에는 아바타 아이템을 자주 업데이트하였다. 하지만 현대의 온라인 게임들과는 다르게 게임 승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아이템이기 때문에 아이템의 판매 인기는 오래 가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거기다 유저들이 구매한 아이템들은 2006년 7월에 엠게임이 짧은 공지사항 하나만 남긴채 모두 삭제해버렸다. 더 이후에는 온라인 웜즈에서 아바타샵으로의 접속이 막히기도 했었다. 이럴거면 아바타샵 버튼을 없애놓든가

 

 

 

연습방

로프전 서버 같은 경우 연습방이라는 것이 있는데, 흔히들 줄여서 연방이라고 했다.[] 연습방은 로프로 그냥 맵 이쪽 저쪽을 멋있게 쏘다니는 건데, 아크로바틱하고 다양한 동작을 뽐내는 장이 되었다. 로프전을 플레이하는 맵은 주로 바위섬이었다. 로프 사용횟수가 무한이며, 중간에 연속으로 사용되는 재사용 횟수도 무한이다. 다만 연습방의 개념으로 진짜 연습만 하는 형식이라 물이 차오를때까지 계속 버티다가 최상단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채팅하면서 시간을 보내다가 마지막에 동시에 입수되어 드로우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졌다.요즘 게임에 비하면 매우 훈훈한 광경이지만... 이렇게 비기는 일이 많아져서 연습방에서는 사다리 아이템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규칙

무조건 사방이 다 막혀 있는 맵에서 플레이해야 했으며, 웜즈 체력은 최대 설정인 300, 시간도 대부분 최대 설정인 45초로 정했다. 서든데스 시간이 오면 서로 부담없이 공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이전에 공격을 하는 것은 비매너 행위였다.

 

 

기술

매트릭스
아마도 가장 유명한 기술일 것이다. 바위섬에서만 쓸 수 있는 기술인데, 바위섬 왼쪽 섬에 왼쪽으로 벌려진 입 같은 구역의 가장 안쪽에 로프를 탄 채로 바주카포를 놔두면 바로 안터지고, 그게 얼마간 걸려서 치지직.. 거리다가 터진다. 단 이건 상당한 고난도 기술이기 때문에 유명하지만 성공하는 이는 잘 없다. 대개는 웜즈가 바주카포를 놔두다가 펑 터져서 저 멀리 날아간다(...). 이 매트릭스를 시도하다가 낮은 확률로 게임에서 튕기기도 했었다.


엘리베이터
바주카를 선택 후 자신의 바닥으로 조준한 뒤 이단점프 중에 로프 단축키를 빠르게 눌러 선택한뒤 웜즈가 땅에 떨어지기 전에 발사하면 로프가 바닥에 꽃히는 현상(버그)를 이용한 로프 기술이다. 마치 엘리베이터처럼 땅에서 위로 직접 올라가는 기술.


스파이크
천장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웜즈를 망치처럼 박는 듯이 이동하는 기술.


드래곤
가장 아크로바틱한 기술 중 하나. 바위섬 왼쪽 섬에서 한번에 오른쪽 섬으로 이동하는 기술이다. 주로 왼쪽 섬 끝에서 한 번의 로프질로 몸을 날려 오른쪽 섬 협곡까지 도달하는데 중간에 있는 봉우리에 걸리는 경우가 빈번했다.


거북이
주로 턴이 다 끝나갈 때 사용하는 잔기술. 로프로 몸을 날리는데 이 때 수류탄도 같이 날린다. 수류탄이 웜즈 앞에서 같이 날아가니까 거북이로 보여서 이런 이름이 붙은 듯.


로켓
거북이와 비슷한 기술인데 수류탄이 아니라 바주카를 같이 날린다는 점이 다르다. 하지만 바주카는 바로 터지기 때문에 자칫 잘못했다가 바주카를 맞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이 때 깎이는 데미지는 예외도 있지만 거의 150 수준으로 깎인다. 체력이 300이라면 한번 정도 실패하는 정도는 괜찮지만 두번 실패하면 죽음이기 때문에 잘 쓰지 않는 기술이었다.

 

728x90
반응형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 체스 게임 소개  (0) 2021.04.18
일랜시아 게임소개  (0) 2021.04.17
어둠의 전설 게임소개  (0) 2021.04.15
그란 투리스모 스포트 게임소개  (0) 2021.04.14
바이오하자드 7 레지던트 이블 게임소개  (0) 2021.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