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에서 개발하고 2003년 8월 14일부터[] 서비스 중인 온라인 게임. 보통은 줄여서 야부리라고 부른다.
넷마블에서 개발한 야채 모양 캐릭터 "쿵야"를 조종하여 시골마을[4] 에서 여러 활동을 하여 경험치를 올리는 게임이다. 타겟은 10대 혹은 그 이하의 어린이이며, 쓰레기 줍기, 칭찬 및 신고 제도 등 뭔가 교육적인 의도를 품고 있지만 서비스한 지 몇 년이 지난 이후 게시판, 게임 유저들의 막장 성향들이 차지했다. 의외로 30대 이상 성인 유저의 비중도 꽤 된다.
보안이 여전히 게임가드라 그런 건지 몰라도 창을 여러개 띄우는 것이 가능하다. 그냥 넷마블 아이디로 로그인 하고나서 게임에 접속한 다음 넷마블 로그아웃을 한 뒤 다른 아이디로 로그인하고 실행하면 된다. 몇 개까지 돌아가는지는 불명. ???
2013년 4월 이후 6년 동안 업데이트가 없다가 갑자기 업데이트 공지가 떴으나 게임에 콘텐츠가 추가되는 업데이트는 아니고, 치장 아이템 한정 판매와 관련된 업데이트다.
그리고 1년 후인 2020년 3월 530승급으로 업데이트 공지가 떴다.
2018년에 모바일로 출시가 확정되었으나, 2020년 10월 21일 기준 현재에도 출시되지 않고 있다. 모바일판의 명칭은 쿵야 야채부락리이며, 디자인은 야부리판과 비슷하다.
게임 맵
마을
가장 기본적인 필드. 음식을 먹거나 쓰레기를 줍거나 대형 쓰레기를 분쇄하거나 몬스터를 사냥할 수 있다. 방장이 최소 2명에서 최대 20명까지 인원을 설정할 수 있고, 비밀방 여부도 선택할 수 있다.[5] 방마다 선택할 수 있는 맵이 있는데, 맵마다 규모가 조금씩 다르며 일부 맵은 개설하는 데 레벨 제한이 걸려있다.[6] 광산이나 낚시터 등의 특수맵에서는 광물을 캐거나 낚시를 하는 등 특별한 활동을 할 수 있지만 쩔문화 때문에 마을에 들어가면 낚시터만 주구장창 있다. 거기다가 몬스터 사냥 역시 사냥터에게 밀리는 실정.
칠성당
칠성 신이 지키고 있는 성지. 칭찬지수로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퀘스트를 받을 수 있다. 아이템에는 능력치 향상 아이템, 이동속도 증가 아이템, 방어막 아이템, 포션 아이템 등이 있다. 퀘스트로는 강력한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것과 펫을 구출하는 것, 특정 마을을 개설할 권한을 얻는 것, 그리고 승급 퀘스트 등이 있는데,
쓰레기 소각장
마을에서 수집한 쓰레기를 일정 갯수 모으면 쓰레기장에서 칭찬지수와 교환이 가능하다. 10개 단위로 교환이 가능하며, 보너스 게임으로 추가 칭찬지수를 습득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순전히 운빨. 여담으로 NPC는 응삼이인데, 상당히 괴짜인 듯.
경찰서
비매너 행위로 다른 유저들에게 여러 번 신고당하면 한 번에 20씩 불량지수가 쌓이는데[7], 불량지수가 100이 되면 경찰서에 갇힌다. 석탄을 일정 갯수 날라다 놓거나[8] 누군가가 칭찬지수를 사용해서 꺼내주는 것 외에는 외부로 나갈 수 없다. 만 16세 이하인 경우 이 곳을 통해 셧다운제 보상을 받을 수 있다.[9] 신고 방어100% 기능의 아이뎀을 가지고 있다면 들어갈 일은 없다. 체험 퀘스트 중에서 경찰서에 가서 석탄을 날라야 하는 퀘스트가 있다.
쿵야 유원지
하단의 미니게임
구판장
상점. 여기서 쿵야와 펫, 치장 아이템 등을 구매할 수 있지만 일부 빼고는 죄다 캐시템이다.
사냥터
말 그대로 사냥이 중심인 필드. 이 곳에서 몬스터를 사냥하는데, 많은 수의 퀘스트가 진행되는 곳이기도 하다. 최초의 사냥터인 정령의 숲을 제외하고는 입장하는데 레벨 제한이 있으며, 던전에 출입하기 위해서는 레벨과는 별개로 문지기 몬스터를 쓰러뜨려야 한다. 이 문지기 몬스터는 일정 시간마다 젠되는데, 그럴 때마다 던전의 문이 닫히니 유의할 것. 일부 사냥터(+히든맵)은 퀘스트를 수행해야 개설 및 진입이 가능하다.
미션맵
두 팀으로 나뉘어 주어진 미션을 완수한 뒤 최종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게임. 모든 팀원이 최종목적지에 도달해야 완수되며, 먼저 도달한 팀이 승리한다. 미션은 해골병사 사냥→쓰레기 수집→상대팀 던전 파괴→안전지대로 대피 순으로 진행되며, 앞의 미션이 모두 수행되어야 다음 미션으로 건너뛸 수 있다. 쓰레기 수집이 제일 오래걸리며 던전파괴가 2번째로 오래걸린다. 마지막 미션인 안전지대 대피의 경우, 상대팀이 우리보다 앞서도 팀 전원이 마지막 맵에 진입해야 승리하는 특성 상 마지막 유저를 아이템으로 가두고 그사이에 우리팀 전원이 먼저 들어가면 역전 승리가 된다. 일정 확률로 자신이나 아군에게 버프를 걸거나 상대방에게 디버프를 거는 아이템이 있으며 한 번에 최대 5개까지 보유할 수 있는데, 운이 좋으면 아이템 창이 빵빵하도록 아이템을 실컷 얻을 수 있지만 운이 나쁘면 작은 아이템 하나 제대로 안 뜬다. 한 때 야채부락리가 인기가 있었을 때는 퀴니에서 미션맵 실황을 방영해줄 때도 있었지만 이것도 다 옛날 이야기다. 참고로 팀 배정 자체는 입장 순서대로 배정되지만, 초창기에는 모든 권한이 방장에게 있어서 방장이 팀원을 바꾸거나 불시에 시작할 수도 있었다. 문제는 이를 악용해서 신캐들을 죄다 자기 팀에 배정시켜놓고 게임이 끝나자마자 시작하여 상대방이 나갈 틈을 주지 않고[10] 자신들은 압도적인 전력으로 연승하여 폭리를 취하는 비매너 플레이어들도 있었다. 이 맵은 퀴니채널이 폐국하고 나서도 아직까지도 남아있다.
야부리 장터
개인 장터를 열 수 있는 공간.
야부리 농장
농작물을 수집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2개의 밭이 주어지며, 일정 칭찬지수를 소모해서 씨앗을 뿌린 뒤에 농작물을 재배하면 칭찬지수와 경험치를 획득할 수 있다.
길드 대전
사냥 방식과 쩔문화
칠성당, 쓰레기장, 구판장 등을 제외한 모든 게임 필드가 인스턴스 던전이다. 서버 내에 방을 만든 다음 그 방에 다른 유저들이 들어오면서 같이 게임을 하는 방식. 방 내의 유저들은 모두 한 파티일 필요는 없다. 유저 출입 역시 자유롭지만 비밀방을 설정하여 원하는 사람들끼리 모일 수도 있다. 경험치를 올려 주는 음식, 쓰레기, 분쇄가 가능한 대형쓰레기, 사냥할 수 있는 몹 등이 거의 사람 수에 비례해서 젠되며, 따라서 최고렙 1명과 저렙 여러 명이 같이 방을 만든 다음, 최고렙 1명만 젠되는 음식을 먹고 경험치를 챙기며 다른 유저들은 모두 잠수를 타는 쩔 문화가 발달되어 있다. 이는 파티를 맺으면 한 유저가 먹는 경험치의 1/10을 모든 파티원들이 나눠먹기 때문. 지인에게 쩔을 받으면서 크는 캐릭터와 그런 거 없이 솔플하면서 크는 캐릭터의 육성 속도는 수십 배 차이에 달한다. 해당 고렙 유저도 혼자서 방 만들거나 다른 방에 들어와서 솔플할 때보다 빠르게 젠되는 음식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결국은 서로가 윈윈. 때문에 대부분의 쩔이 공쩔이다. 일부 인기 있는 쩔방에서는 쩔을 받기 위해 수십 분 동안 줄을 서서 대기타는 진풍경도 구경할 수 있다. 물론 자기 차례만 돌아온다면 수십 분 동안 기다린 보상을 제대로 받는다...
쩔방으로는 보통 맵중에서 넓이가 가장 좁은 축에 속하는 풍악산 낚시터 맵을 많이 이용한다. 음식이 많이 나와야 경험치를 많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랜덤으로 젠되는 음식의 젠 확률에 대한 근거없는 속설들이 유저들 사이에 나도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파티원들이 둔갑술을 사용하면 음식이 잘 젠되지 않는다. (거의 모든 쩔방에서 둔갑술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파티원들이 "벌렁"(F6) 모션을 취하면 음식이 잘 젠된다.
파티원들이 낚시를 하면 음식이 잘 젠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긍정/부정 의견이 팽팽하니, 낚시를 하기 전에 파티장에게 먼저 물어보고 하는 게 좋다.)
레벨 시스템
2020년 3월 기준 만렙은 530. 대단히 높아 보이지만 의외로 레벨을 올리기 쉬운 게임이라, 조금만 잡으면 세자리수 정도는 금방 찍는다. 게다가 레벨 500이 넘고 경험치 강화 효과를 죄다 적용한 유저에게 음식쩔을 받으면 농담 안 하고 레벨 한두자리대 유저들은 0.1초마다 1업, 심지어 레벨 499에서 500 넘어가는데도 5분이면 컷하는[11] 미친 듯한 초광렙을 맛볼 수 있다. 따라서 웬만큼 고렙 소리를 들으려면 일단 500은 넘어야 된다. 그리고 500을 넘기면 다른 유저들을 쩔시켜 주면서 솔플을 하는데, 이 때는 닥치고 캐시를 질러야 한다. 왜냐 하면 경험치 능력을 업시키는 쿵야가 캐시 캐릭터이고, 경험치 강화 아이템을 만드는 데 캐시가 필요하며, 이게 있어야 쩔을 받으려는 유저들을 잘 유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초고렙 사냥터에서는 만렙 유저가 마왕을 족치면 억 단위의 경험치를 한번에 먹는다![12]
개발 당시의 만렙은 500이었으나 501부터는 새로 추가된 레벨이라 명칭이 부여되어 있으며, 1~500까지와는 달리 경험치만 있으면 레벨이 올라가는 게 아니라, 각각의 레벨마다 승급 퀘스트가 있어서 이를 클리어해야 레벨이 올라간다. 물론 무지막지한 양의 경험치를 요구하는 건 기본. 게임 특성상 만렙 찍으면 할 게 없기 때문에 자꾸 만렙 제한을 푸는데[13], 유저들이 만렙 찍는 속도를 최대한 늦추기 위해서 승급 퀘스트는 갈수록 어려워진다. 하지만 그래도 만렙 찍는 유저들은 만렙 찍는다. 2020년 2월 14일 기준 랭킹 1위의 경험치는 31,228,322,948,203,515[14]이니 충격과 공포.
모든 레벨에 L모 스튜디오의 게임과 유사한 고유의 훈장 마크가 붙어 있으나, 보통은 그런 거 씹고 그냥 레벨로 부른다. 그쪽과는 달리 레벨을 옆에 표시해 주기 때문인 듯. 마크는 1~216까지는 훈장 모양, 217~492까지는 씨앗에서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히는 모양과 닮아 있다.
경험치는 % 비율로 올라가며, 따라서 인터넷에 나돌아다니는 경험치표는 없는 상황.
2012년 10월 23일부로 체험퀘스트가 추가되었는데, 이 체험퀘스트는 매 50레벨마다 칠성당에서 받아야 하며 9차(Lv.450)까지 있다. 퀘스트를 하지 않으면 경험치가 올라가지 않고 레벨업이 안된다. 따라서 쩔받다가 체험퀘 알림이 뜨면 나름대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450때 9차 체험퀘를 하고 별도로 뜨지는 않지만 10차 체험퀘가 있다.(필수는 아님.) 10차 체험퀘를 완료하면 바로 500레벨이 된다. 500레벨 위로는 승급퀘로 하나씩 뚫는 방식인데, 이 중에서 사냥터에서 특정 맵을 해야 하는데, 이들 중에서는 입장 권한 획득 퀘스트+히든맵 입장 권한 퀘스트 까지 모두 깨야 하는 경우가 많으니, 미리미리 클리어 해놓도록 하자. 500레벨 이후는 경험치바가 다 차도 계속 누적이 되므로, 승급퀘를 하나하나 할지 아니면 모아놨다가 한번에 할지는 개인 자유. 이 경우 재신의 경험치를 알고 싶다면 홈페이지에서 랭킹 페이지로 들어가면 된다.(매일 1회 업데이트되니(4시) 오늘 획득한 경험치는 통계 자체에는 다음날 반영 )
즐길수 있는 시스템
다른 게임처럼 길드 시스템이 존재. 길드에 가입하면 경험치 혜택 등의 프리미엄이 있으며, 길드대전도 가능하다. 길드대전에서 순위권에 들 경우 경험치 아이템을 상품으로 준다. 같은 길드원이 같은 방에 있을 경우 경험치를 더 주는데, 이를 이용한 임길이라는 쩔 방식도 존재한다. 고레벨의 길드장이 쩔방을 만들고 길드가 없는 저레벨 유저들을 들어오게 한 다음, 쩔을 해 줄 때만 한시적으로 길드에 가입시켜 주는 방식.
둔갑술 시스템은 일정량 체력을 소모하면서 둔갑을 하면 일정 시간 동안 그 상태가 유지되면서 둔갑술마다 각각 다르게 정해진 능력치 상승 효과[16]를 얻을 수 있다. 둔갑술은 보통 5~10레벨 구간별로 존재하며, 해당 레벨 구간을 통과하면 새로운 둔갑술을 배울 수 있다. 참고로 레벨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둔갑술 성공 확률이 떨어지고 그만큼 소모되는 체력도 많아진다. 둔갑술을 사용하면 숙련도가 올라가는데, 숙련도가 높을수록 둔갑술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
연금술 시스템도 있는데, 광산이나 낚시터에서 모은 광물을 가지고 마법 물품을 만들거나 다른 광물로 변환할 수 있다. 마법 물품은 일정 시간동안 음식물 먹기, 쓰레기 줍기, 땅파기 속도를 증가시킨다.
낚시 시스템은 일부 맵에서 낚시를 할 수 있는데, 칠성당에서 낚시대와 미끼를 구매하면 이용할 수 있다. 칠성당에서 구매가 불가능한 특수 아이템이나 물고기, 조개류 등을 건질 수 있는데, 이것들을 팔면 칭찬지수를 얻을 수 있다. 간혹가다 쓰레기만 건지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화석 채집 시스템이나 씨앗 수집 시스템 등이 있다.
게임상 특징
서버는 개발 당시부터 있던 야채마을, 추후 생긴 쿵야마을, 2012년에 추가된 풍악마을, 테스트마을[]이 있었으나 2012년 10월 3개의 본서버가 하나로 통합되었다. 서버 통합 전에는 캐릭터를 각 서버마다 1개씩 밖에 못 만들었기 때문에 부캐 같은 거 없이 하나 잡고 끝까지 키워야 했으나, 서버 통합 이후 각 서버마다 1개의 캐릭터였던 것이 통합되어 3개의 캐릭터 슬롯을 제공한다.
부분유료화 게임이라 캐시 아이템이 존재하는데, 캐시 아이템들은 소모성 아이템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 기간제 아이템.[] 물론 기간제가 아닌 무제한 캐시 아이템들도 존재하지만 이런 건 선착순 수량 한정 판매. 그리고 게임의 실질적인 능력치에 영향을 주는 것들이 많다. 캐시 아이템 중에는 헬로 키티와 제휴를 맺어 판매하는 캐릭터 상품도 있었다. 상점으로 들어가면 왼쪽에 헬로 키티, 오른쪽에 기본으로 돼지가 자리 잡고 있었는데 현재는 헬로 키티와도 계약이 끝났는지 없어진 상태다.
그리고 다른 회사들과 제휴하여 진행하는 홍보성 이벤트가 자주 있다. 보통은 그 회사에서 홍보하려는 상품 이미지를 본딴 아이템을 젠시키고, 이걸 가장 많이 모은 사람들에게 해당 상품을 주는 방식. 아무래도 이동속도가 빠르고 접속 시간이 많은 고렙 유저들이 유리하다.
매크로 및 오토마우스 사용 유저들이 엄청나게 많다. 이를테면 낚시방에 가 보면 오토마우스를 켜 놓고 잠수타는 유저들이 대부분. 애초에 게임이 단순한 클릭만 해 주는 오토마우스가 쓰기 좋게 만들어져 있으니(...). 이미 경제 구조는 붕괴되어 칭찬지수를 10억 이상 들고 있는 유저들도 많이 보인다.
여담으로 이모티콘 시스템 중에서 상대를 때리는 이모티콘이 있는데[], 레벨 차에 따라 성공률에 영향을 받는다. 저레벨이 고레벨에게 시전하면 miss 뜰 확률이 높지만 반대로 고레벨이 저레벨에게 시전하면 성공할 확률이 높다. 물론 자주 사용하면 감정 상하니까 유의할 것. 칠성당에서 방어막 아이템을 구매하면 상대방의 레벨이 자신의 레벨보다 높아도 miss가 뜬다.
2011년 11월 20일 시행되는 셧다운제에 대비하여 투표를 통해 유저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청소년을 위한 보상 방안을 마련한다는 공지가 올라온 적이 있다. 투표 선택지에는 청소년 계정 데이터를 성인 계정 데이터로 이전[]하는 안, 청소년 계정에게 특정 시간 경험치 혜택을 제공하는 안 등이 보이는데, 이 투표는 짤방화되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13년 이후로 7년동안 업데이트가 없었지만 아직도 서비스 종료를 하지 않았고, 2020년 3월에 승급퀘스트 업데이트 하였다. 사실상 넥슨 클래식 RPG의 대칭점.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구르팅 게임소개 (0) | 2021.05.13 |
---|---|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게임소개 (0) | 2021.05.12 |
짱구는 못말려 온라인 게임소개 (0) | 2021.05.10 |
샤이닝 로어 게임소개 (0) | 2021.05.09 |
캐치마인드 게임소개 (0) | 202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