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정보

Friday Night Funkin' 게임소개

뤼케 2021. 9. 4. 10:45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머 Ninjamuffin99, 작곡가 Kawai Sprite, 아티스트들 PhantomArcade와 Evilsk8r가 제작 중인 리듬 게임. HaxeFlixel이라는 게임엔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2020년 11월 1일 Newgrounds에 처음 업로드되었다. 게임의 줄거리는 주인공 남자친구가 여자친구와 사귀기 위해 여자친구의 아빠 등 방해하는 자들과 랩배틀을 해서 이겨야 한다는 내용이다

 

게임 특징

전체적인 게임 방식은 DanceDanceRevolution과 파라파 더 래퍼를 합친 듯한 형식.[] 또한 배경 구도는 리듬 세상 Wii의 '사랑의 래퍼'를 연상시키는 모양새이다. 왼쪽에는 상대, 오른쪽에는 남자친구가 자리한다. 플레이 방법은 오른쪽 상단 (남자친구가 서있는 자리)에 위치한 빈 화살표 4개를 이용하여 박자에 맞춰 올라오는 화살표들을 알맞게 누르면 된다. 방향키와 WASD, 그리고 넘버 패드[]로 플레이 할수 있고, 0.2.8부터는 네 방향 모두 임의의 키로 설정할 수 있다. 보통의 차트 구조라면 상대방이 먼저 노래를 부르고 이후 남자친구(플레이어)의 시점에서 채보가 올라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게임 난이도

귀여워 보이는 캐릭터들의 생김새와는 다르게 DDR류 리듬게임답게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하며, 무엇보다 후술할 퍼펙트 콤보를 내기가 굉장히 어려운 편이다. 1번째 주는 그나마 할 만하지만 2번째 주부터는 난이도가 갑자기 급등해서 DDR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패닉을 선사한다. 다행히 난이도 선택이라는 개념이 존재해 이지(최하위권 난이도), 노말, 하드(최상위권 난이도)까지 선택하여 플레이가 가능하나 노말부터 갑자기 난이도가 확 오르는 게 초보들에게 충분히 난감할수 있는 점이다. 하지만 전술한 게임플레이 방법대로 노트를 알맞게 눌러서 체력을 회복할 수 있으며 특히 롱 노트를 맞추면 체력이 아주 많이 채워지기 때문에 이 점을 잘 이용할 경우 곡 클리어만이 목적인 경우에 한해서 아주 불합리한 난이도는 아니라고 볼수 있다. 그러나 하드 모드 클리어 및 퍼펙트 콤보를 노리는 경우라면 빡빡한 채보와 널널하지 않은 판정[]이 겹쳐 난이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

 

게임 팁

보통 프나펑을 처음 접하는 유저들은 WASD와 방향키를 많이 사용하지만 나중에는 키 설정을 바꾸게 될거다. 빠른채보, 대량의 채보가 나오는 모드가 특히 키 설정을 바꾸게 될거라고 장담한다. 제일 추천하는 키 설정은 DFJK다

 

한국어 지원

비공식 한국어 패치가 존재한다. 다른 모드에 적용하려면 직접 에셋 파일을 알맞게 옮겨서 한글화를 해야 한다. 오래된 모드에는 week 표시 등 약간 호환이 안될 수 있다.

 

팬덤의 문제점

2021년 들어 해외와 함께 한국에서도 덩달아 인기가 높이지고 있으나 왈도쿤과 유명 스트리머들, 돼지저금통의 시작으로 유명 저연령층 유튜버들이 몰려들면서 타 팬덤처럼 악성 팬덤이나 저연령층 유저들이 대거 유입됨에 따라, 또 다른 초딩겜으로 변질되는 게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

대부분의 저연령층들은 이 게임의 2차 창작, 타 유튜버 플레이 영상 등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문제는 게임 자체가 많이 어려운 편이다 보니 쉽고 단순한 게임을 좋아하는 저연령층들은 대부분 플레이도 하지않고 오직 영상만 보며 컨셉,TMI TOP 영상 제작[], 팬메이드 가사를 주 컨텐츠로 삼는다.

그만큼 오글거리는 2차 창작이 많이 생산되고 Rule 34에 나올법한 팬아트도 많이 그려진다. 게다가 킥스타터의 후원 프로젝트 공약 달성으로 인해 모바일 버전 출시가 확정되어 저연령층들의 유입 영향으로 초딩겜 인식이 박힐까봐 기존 팬들은 걱정하고 있는 목소리는 공통적인 듯. 게임의 분위기로 보았을 때 저연령층 유저들이 유입되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지만, 발디의 수학교실이나 지오메트리 대시, 언더테일 같은 경우도 결국 초딩겜으로 변질되었기 때문에, 저연령층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모드의 개발이 활발하다 보니, 모드의 원작을 보고 그쪽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잦다. 여러 곳에서 팬덤변질에 대한 팬들의 우려는 점점 커지는 중.

 

잘못 알려진 게임명

어째서인지 국내에서는 '프라이데이 나이트 펌킨'이라는 이름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런칭 초기에 인터넷 방송인들에 의해 오타가 난 제목이 널리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Week 2에 등장하는 펌프는 진짜로 호박을 뒤집어쓰고 있어 이런 잘못된 명칭이 더욱 퍼진 것으로 보인다.

설상가상으로 여기서 착안되어 잘못 퍼진 건지 국내에서는 영문명을 Funkin이 아닌 Friday Night Pumpkin으로 알고 있는 경우도 있다. 구글에서도 프라이데이 나이트 펑킨이라고 쓰면 프라이데이 나이트 펌킨으로 교정되어 나왔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현재는 게임 제목이 펑킨이라고 한국어로 대문짝만하게 적혀있다.

펀킨으로 주장하는 경우도 있는데, fun+kin으로 이해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또한 잘못된 것이, k가 n의 뒤로 와서 종성 ㅇ 발음이 되기에 펑킨이 맞다.[]

인터넷에서 떠들썩하게 펑킨이 맞다, 펌킨이 맞다, 펀킨이 맞다 식으로 키배를 뜨는 경우도 있다. 구글 번역기와 파파고도 펑킨으로 발음을 해 주는데도 인식이 펌킨으로 굳어진 것을 보니 유튜브 스트리머들의 파급력이 굉장한 듯하다.

그래서 사람들이 발음대로 Funk, Punk를 펑크라고 부르듯이, Funkin도 펑킨이 맞다고 이해하면 된다. 다행히도 지금은 '펌킨'이 잘못된 표기라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다.

728x90
반응형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닉 컬러즈 게임소개  (0) 2021.09.06
Hades 게임소개  (0) 2021.09.05
소닉과 암흑의 기사 게임소개  (0) 2021.09.03
소닉 언리쉬드 게임소개  (0) 2021.09.02
소닉과 비밀의 링 게임소개  (0) 2021.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