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1993년 9월 23일 발매한 세가의 메가 CD용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이 게임의 포맷은 다른 MD 시리즈와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소닉의 아버지인 나카 유지와는 아무 관계 없는 독립된 창작물이다. 나카 유지는 소닉 1 이후, 일본의 세가 본사와 불화가 생겨 야스하라 히로카즈[]와 함께 미국으로 날아가 소닉 2를 만들었고, 소닉 CD의 개발자는 소닉을 디자인한 오시마 나오토이다.
소닉 1, 2, 3로 이어지는 기존 시리즈와 차별화된 분위기와 시스템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사령탑이 바뀐 것이 전화위복이 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탓인지 그다지 좋은 평가를 듣지 못했던 메가 CD용 게임들 중에서는 그나마 가장 성공한 작품이다. 제임스 롤프가 "이 똥덩어리 게임기에서 건질 수 있는 유일한 게임은 소닉 CD 하나였다"라고 말했을 정도.[] 판매량도 메가 CD용 게임 중에서는 가장 많았고, 각종 리뷰 점수도 전반적으로 높은 편에 속한다. 참조 1인 전용 게임이다. 소닉 시리즈에서 비중이 큰 캐릭터들인 메탈 소닉과 에이미 로즈가 처음으로 등장한 게임이다.
게임 프롤로그
작고 아름다운 별 리틀 플래닛. 리틀 플래닛은 일 년에 단 한 달 동안, 호수 네버 레이크 상공에 나타납니다. 리틀 플래닛의 별명은 '기적의 별'. 시간을 자유로이 지배할 수 있는 신비한 돌 '타임 스톤'이 잠들어 있는 별이기도 합니다. 타임 스톤이란 사막을 정글로, 오염되어 더러워진 호수를 아름답고 깨끗한 호수로 바꾸는 것과 같이 시간을 뛰어넘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신비한 돌입니다.
그런데 악명 높은 천재 과학자 닥터 에그맨이 그 타임 스톤을 노리게 되었습니다. 에그맨은,
"타임 스톤이 잠든 리틀 플래닛. 그야말로 내 요새를 짓기에 어울리는 별이다!"
...라며 리틀 플래닛을 네버 레이크 상공에 고정한 뒤 그곳에 거대한 요새를 짓기 시작했습니다. 타임 스톤을 모두 모아 시간의 지배자가 되어 세계를 정복하려는 야망을 품고 움직이기 시작한 겁니다.
한편 아무것도 모르는 소닉은 리틀 플래닛을 보러 네버 레이크에 갔습니다.
"뭐, 소닉이 왔다고? ……그거 잘 되었군."
보고를 받은 에그맨은 뻔뻔스러운 미소를 만면에 띄우며 눈을 빛냈습니다.
네버 레이크에 온 소닉이 본 것은, 길게 늘어진 쇠사슬에 묶여 바위에 고정되어 있는 처참한 모습의 리틀 플래닛이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바위엔 닥터 에그맨의 얼굴이 새겨져 있었습니다.
"에그맨 이 자식……!"
"이번에야말로 내 과학력으로 해치워 주마! 타임 스톤을 모아서 세계를 정복하는 거다! 호, 호, 호……."
기분 나쁘게 웃으며 기다리는 닥터 에그맨. 그리고 그 뒤에 숨어 있는, 파란 섬광.
닥터 에그맨의 야망을 이제껏 문제없이 저지한 소닉. 과연 리틀 플래닛의 자유를 되찾을 수 있을까요?
"문제없어! 용기를 낸다면 뭐든 할 수 있으니까!"
게임 시스템
동물을 동력원으로 쓰는 일반적인 배드닉과 달리, 리틀 플래닛에 배치된 배드닉이나 캡슐에는 식물의 에너지가 들어있다. 그리고 낙사 구간이 메탈릭 매드니스 존 3에만 있다.
또한 슈퍼 필 아웃과 스핀 대시가 다 존재한다.
타임 워프
시스템적으로 특이한 점이라면 리틀 플래닛의 특성상 한 스테이지에 '과거, 현재, 밝은 미래, 암울한 미래'의 개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각 액트마다 Past 혹은 Future가 적힌 '타임 워프 표지판'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데, 소닉이 이 표지판을 건드리면 화면의 UI에 해당 표지판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4~5초 정도) 이상 지속적으로 속력을 내면 과거 및 미래로 타임 워프를 할 수 있다. 달리는 동안 소닉의 몸에서 빛이 뿜어져 나오는데, 이것을 중간에 속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유지해야 한다. 중간에 속도가 떨어지거나 장애물에 가로막히거나 스스로 하는 스핀으론 속도가 줄어 타임 워프가 취소되고, 만약 다른 시간대에 돌입하기 전의 아슬아슬한 타이밍에 이동을 멈추게 되면 UI의 아이콘이 사라진다. 물론 한 번 건드린 표지판은 다시 쓸 수 없다. 따라서 오랫동안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간을 찾지 못하면 표지판의 위치를 알아도 무용지물이며, 몇 번이고 시도했다가 아슬아슬하게 실패하면 표지판이 사라지므로 상당한 빡침을 유발한다. 특정 스테이지에서는 좌우에 스프링을 설치하는 등 간단히 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치를 해두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런 거 없고 자기가 알아서 달려야 한다.
스테이지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시간대를 고르고 각 액트에 진입할 수 있는데, 각 액트의 현재, 과거, 밝은 미래, 암울한 미래를 A, B, C, D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첫 단계인 팜트리 패닉 액트 1의 밝은 미래로 시작하려면 1-1-C를 선택하면 되고, 스타더스트 스피드웨이 액트 2를 과거 시간대에서 시작하려면 7-2-B를 고르면 된다.
보스전
보스전은 무조건 미래 시간대에서 진행되며, 타임 스톤을 모으거나 해당 스테이지의 존 1, 존 2가 모두 밝은 미래일 경우, 보스전은 자동으로 밝은 미래가 된다. 그 외에는 암울한 미래가 나온다.
소닉 CD의 특징 중 하나로, 보스 자체의 HP는 매우 낮은 대신에 공략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메가 드라이브로 발매된 넘버링 시리즈는 보스의 HP가 대체로 8 이상인데, 소닉 CD에서는 최종 보스를 포함하여 모든 보스의 HP가 높아봤자 4 정도이다. 어떤 보스는 그냥 막무가내로 덤비기만 해도 쉽게 깨지지만, 어떤 보스는 공략법이 지나치게 어려워서 고전하기도 한다.[7] 특히나 컬리전 카오스 존의 보스전은 핀볼 테이블에서 장애물을 뚫고 올라가 보스를 공격해야 한다.
여담으로 에그 모빌이 많이 등장하지 않는 까닭에 본 작품의 에그맨은 패배시 에그 모빌을 타고 도망가지 않고, 뛰거나 제트팩을 타고 도망가는 경우가 많다.
특수 조작
슈퍼 필 아웃
리스타트
스테이지 내에서 Alt와 F2를 동시에 누르면 라이프를 하나 없애고 해당 스테이지를 다시 하게 된다. 라이프가 1일 경우에는 게임 오버 화면을 스킵하고 바로 타이틀 화면으로 돌아간다. 매뉴얼에는 재도전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스팀판에는 삭제되었다.
세이브
스테이지 하나를 클리어하면 게임의 진행 상황이 자동 저장된다. 데이터의 복사와 삭제가 가능하며 복사에는 횟수 제한이 있다. 타임 스톤을 얻어두거나 좋은 미래를 만들고 나서 미리 백업 데이터를 복사해 두자. 스팀판에서는 오토 세이브로 바뀌었다.
게임 엔딩
굿 엔딩
리틀 플래닛이 완전히 해방되고, 스태프 롤이 지나가고 나서 꽃들이 만연한 들판과 함께 YOU ARE TOO COOL!(당신은 너무 멋져!)이라는 문구가 나오는 엔딩. 이 엔딩을 보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게임의 전 액트에서 에그맨의 로봇 생성기를 파괴하여 전 액트의 좋은 미래를 보장하는 것이며, 또 하나는 7개의 타임 스톤을 모두 수집하는 것이다. 이 두 과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면 되는데, 둘 다 성공해도 별 다른 추가 요소는 없으니 지나치게 자신을 혹사시킬 필요는 없다. 여담으로 굿 엔딩 애니메이션에서 묘사된 리틀 플래닛 모습 덕에 자폭했다와 원래 있던 곳으로 돌아갔다를 놓고 논란이 일어났으나, 이후에 나온 소닉 4에서 자폭하지 않고 다시 제 갈 길을 갔다는 것이 마침내 확인되었다. 그런데 소닉 4에서 오랜만에 모습을 드러낸 리틀 플래닛은 아니나 다를까, 다시 에그맨의 손에 망가져서 이번에는 아예 새로운 데스 에그 MK2의 몸속에 갇혀 버린 상태였다. 더군다나 소닉 포시즈까지 스토리가 진행되는 동안 이 때 출연한 이후 메인 시리즈에서는 언급이 일절 없다. 소닉 매니아에서는 출연하지만 이 리틀 플래닛은 이세계의 리틀 플래닛이라 더더욱 안습이다.
배드 엔딩
굿 엔딩의 조건을 전혀 채우지 않고 최종 보스를 격파하면, 스태프 롤이 지나간 이후 네버 레이크 상공에 기계화된 리틀 플래닛이 다시 나타나면서 TRY AGAIN(다시 하자), 일본판의 경우 TRY AGAIN AND FREE LITTLE PLANET FOREVER(다시 해서 리틀 플래닛을 영원히 해방시키자)라는 문구가 나온다. 배드 엔딩 애니메이션은 굿 엔딩의 것과 달리 장면이 조금 바뀌는데, 타임 스톤을 들고 도주하는 에그맨을 스핀 대시로 가속한 뒤 돌을 내던져 격추시키는 소닉의 기행을 볼 수 있다(...). 폭발하는 연기가 에그맨 얼굴 모양이 된다.
'게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닉 & 너클즈 게임소개 (0) | 2021.08.24 |
---|---|
소닉 더 헤지혹 3 게임소개 (0) | 2021.08.23 |
소닉 더 헤지혹 2 게임소개 (0) | 2021.08.21 |
소닉 더 헤지혹 게임소개 (0) | 2021.08.20 |
별의 커비 트리플 디럭스 게임소개 (0) | 202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