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정보

왕자영요 게임소개

뤼케 2022. 9. 29. 08:47
728x90
반응형

중국의 Tencent(腾讯) 계열 회사인 Timi(天美)에서 2015년 발표한 모바일 AOS게임. PC게임인 리그 오브 레전드와의 유사성으로 베꼈다는 평가를 받고는 있지만, 라이엇 게임이 2011년에 텐센트의 계열사가 되었고 이 게임이 2015년에 나왔기 때문에 딱히 문제될만한 부분은 아니게 되었다. 중국 메신져 WeChat과 QQ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영어권에서 이 게임을 지칭할 때는 王者荣耀의 영어 직역인 King of Glory 또는 Honor of Kings 라고 부른다. 대만이나 동남아시아에서는 Strike of Kings 라는 제목으로 내었다가 현재는 유럽과 미국 등 영어권 전체로 서비스 지역을 넓히며 Arena of Valor라는 이름으로 통일시켜서 서비스하고 있다.

펜타스톰은 왕자영요의 글로벌 버전인 전설대전을 넷마블이 한국 현지화를 해서 서비스하고 있는 게임이다. 그래서 게임시스템은 거의 동일하지만 등장영웅들은 차이가 있다.

중국시장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어서 일일 실사용자가 5천만명 가량이고 2017년 1분기에 60억 위안 (한화 약 1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현재 총 합계로는 약 2억 명 정도의 사람들이 플레이하고 있다고 한다. 앱통계 회사인 앱애니에 따르면 2017년에는 거의 텐센트의 밥줄인 게임이었으나, 2021년 와일드리프트의 운영 시작으로 인해 유저가 많이 줄어들었다.

중국 현지에서 인기가 대단한 나머지 중국 인민해방군 측에서는 장병들이 시도 때도 없이 이 게임을 플레이하자, 이것을 중독증상으로 보고 이 게임을 인민군 전투력 저하의 원인으로 판단했다고 한다. 중국 인민해방군의 기관지에서는 이 게임이 계속해서 인민군 장병들의 정신을 갉아먹는다는 식의 기사를 내고, 전자 아편으로 취급하기도 하였다.

중국의 청소년이 죽을 뻔할 정도로 과도하게 몰입해서 여론이 나빠지고 인민일보가 비판 기사를 내자 텐센트 주가가 폭락해서 시가총액[]중 17조원이 하루아침에 증발하는 바람에 자발적으로 청소년의 게임시간을 제한을 하고 있다. 그래서 셧다운제를 채택했으며 만 12세 이하의 어린이는 하루 2시간 이상 플레이가 불가능하며 외국인의 경우에는 QQ사용자에 한해서 여권 등록번호와 중국 이름 등을 등록해야 성인이라도 셧다운제를 당하지 않는다. 단, 위챗 유저들은 셧다운제에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성인이더라도 10시간 이상 플레이하면 15분 동안 강제로 접근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현재도 비판은 끊이지 않고, 경제 불황에 와일드리프트라는 새로운 경쟁자까지 생겨나 시가총액이 계속 감소중이라 2022년 글섭 출시를 할 예정이다. # 이에따라 텐센트 자회사의 게임끼리의 팀킬이 예상된다는 의견이 많다.

 

초기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의 유사성이 자주 거론되었으나 애초에 라이엇 게임즈가 텐센트의 자회사이고 최근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겹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재구성하는 추세이다. 그래도 지도는 그냥 소환사의 협곡과 거의 똑같다.

게임머니는 골드와 캐시가 있는데, 캐시를 골드로 환전할 수 없다. 1캐시는 0.1위안이나, 상점에서는 최소 10캐시부터 있다. 위챗페이는 3% 할인

 

e스포츠

게임의 글로벌화를 노리는 텐센트 측에서 직접 투자해 중계 방송사로 OGN을 섭외하여 2018 왕자영요 프로리그(KRKPL)를 국내에 직접 런칭했다. 당시 리포팅은 KBS 기상캐스터로 활동중인 배혜지, 그리고 프리랜서로 활동중인 최은강이 번갈아서 맡았다. 왕자영요는 아직 한국 정식 발매도 안 된 상태라서 한국 트위치에서는 30명 안팎이 시청하는 비인기 리그이다. 한국에서 열리는 대회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왕자영요의 인기 때문인지 중국에서는 26만명 정도 시청하는 것에 비하면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2019년 7월인 최근에는 트위치에서 중계하는 왕자영요 월드 챔피언컵의 시청자 수가 1,500명 이상이다. 하지만 채팅이 올라오는 속도는 하꼬방 수준이고 그마저도 궁금해서 왔다가 비아냥대는 채팅이 대부분이라 뷰봇이라는 의심을 강하게 받고있다.

2019년 9월 KRKPL의 주관사가 뜬금없이 SPOTV GAMES로 변경되었다. SPOTV GAMES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에서는 국내 팀과 해외 팀(중국, 대만, 유럽, 미국 등)을 초청하고 상금을 대폭 늘리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OGN은 안 그래도 가난한 처지에 그나마 승부수로 띄워볼만한 종목을 잃는 격...

한국에서의 흥행 부진 끝에 2020년 KRKPL이 폐지되고 KPLGT(King Pro League Global Tour)로 개편되었다.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온라인 경기로 전환되었다.

KRKPL이 폐지된 후 몇몇 한국 팀이 KPLGT에 참가했지만 이들마저도 얼마 못 가 중국으로 거점을 옮기거나 해단하면서 국내 프로씬은 전멸한 상태로, 많은 선수들이 같은 장르인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로 전향했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e스포츠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는데, 이 게임의 국내 인력이 대부분 와일드 리프트로 이동한 상황이라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한국판인 펜타스톰 또한 인력이 없는 건 마찬가지인데다 이쪽은 아예 서비스가 종료될 예정이라 당연한 수순.

 

게임 역할

탱커: 높은 방어력과 체력과 다양한 cc기들을 기반으로 하는 영웅이다. 주로 하는 것은 암살자한테 주력 딜러[5]를 방어하는 역할과 한타에서 궁을 어떻게 쓰느냐가 한타의 승패를 가를 수도 있다.


전사: 근거리지만 강한 딜을 가진 영웅이다. 또는 딜탱이라고 하며, 요즘에 가장 중요한게 딜탱의 플레이 상황이다.


자객: 순간적인 딜링과 이동기가 우수한 영웅이다. 암살자라고도 하며, 원딜이나 마법사를 순간적으로 녹인다.


마법사: 마법 공격력을 기반으로 하는 스킬 딜링이 위주인 영웅이다. 주로 미드나 바텀에서 서포터를 담당하며 언제나 자객과 생사를 다툰다.


사수: 원거리 딜러로 기본 평타가 원거리에 깅력하거나 속사가 가능하다.


보조: 여러 유틸기나 회복기로 아군을 보조하는 영웅이다

 

게임 랭크전

5대 5 일반모드에서 이루어진다. 티어는 크게는 브론즈(青铜), 실버(白银), 골드(黄金), 플래티넘(铂金), 다이아(钻石), 흑요(星耀), 마스터(王者), 마스터에서 50별을 더 얻으면 도달 가능한 첼린져(荣耀王者)로 이루어지며, 세부적으론 1~5로 나뉜다. 해당 티어에서 별을 다 채운 상태에서 이기면 승급, 별을 다 잃은 상태에서 지면 강등된다. 또한 메너겜이나 게임내 성적에 따라 점수를 얻는데, 랭크마다 최대 수치[]의 절반을 채우면 강등을 막아주고, 다 채우면 별을 하나 준다.

일반 모드와는 다르게 픽할 때 취소할 수 있으며, 랭크 게임에서 현재 선택중인 챔프의 판수와 승률을 올릴 수 있다.

다이아 이상부터 밴픽전이며 그 이하는 무제한이다. S14시즌부터 다이아 이상 랭크에서 4미드 이상이나 4원딜 이상 조합이 금지되었다.

신용도라는 제도가 게임에 도입되었는데, 90점부터 시작해서 신고받지 않고 게임을 마치면 1점씩 주고, 탈주, 고의트롤 등 비매너행위를 할 시 깎이는 점수이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신용도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며, 90점 이하로 내려갈 시 랭크 게임에 입장할 수 없다. 80점 이하로 내려가면 일반 게임도 입장 불가.

 

게임 스펠

Heal(힐, 회복, 치료): 자신과 주변의 아군 캐릭터의 체력을 15% 회복하고, 이동속도를 2초 동안 15% 증가시킨다. [쿨타임 120초]

Sprint(유체화, 질주, 질보): 10초 동안 이동속도를 30% 증가시키고 슬로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쿨타임 100초]

Smite(강타, 징벌, 정격): 주변의 정글 몬스터 및 미니언에게 1000의 고정 뎀지를 주고 1초 동안 기절시킨다. [쿨타임 30초]

<2단계 이상의 정글 아이템 구매 시 적 캐릭터에게도 사용 가능한 Frost Smite(천벌, 한빙정격)로 변경된다. 일정량의 고정데미지와 슬로우를 부여한다.>

Shut down(처단, 참살): 주변의 적 캐릭터에게 즉시 잃은 체력의 14%만큼 데미지를 입힌다. [쿨타임 90초]

Anger of the Land(분노, 광폭): 7초 동안 적에게 주는 피해량 10% 증가, 15% 강인함(cc 시간 감소), 20%의 물리 흡혈, 30%의 마법 흡혈을 획득한다. [쿨타임 60초]

Provoke(혼란, 방해, 간요): 사용 시 범위 내의 적 타워를 6초 동안 무력화한다. 아군 타워에 사용 시 4초 동안 무적이 되고 공격속도가 두 배가 된다. [쿨타임 60초]

Daze(기절, 감전): 주변의 모든 적을 0.75초 동안 기절시키고 1초 동안 슬로우를 건다. [쿨타임 90초]

Purify(정화): 모든 디버프와 CC(제어효과)를 해제하고 1.5초 동안 CC에 면역된다. (매우 짧은 시간동안 무적이 됨) [쿨타임 120초]

Cripple(탈진, 약화, 저주): 4초 동안 범위 내 적군의 피해를 25% 감소시키고 자신에게 들어오는 피해를 20% 감소시킨다. [쿨타임 90초]

Flash(점멸, 순간이동, 섬현): 지정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다. [쿨타임 120초]

«스펠 사용 팁»

Heal(힐, 회복, 치료): 주로 서포터들이 이용했었지만 현재는 약화에 밀려서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잃은 체력 비례 힐이 아니기 때문에 너무 아끼지 말고 계속 싸울 것 같다면 빠르게 써주는게 좋습니다.

Sprint(유체화, 질주, 질보): 이동속도에 따라 강화평타 데미지가 올라가는 마초, 슬로우에 취약하고 패시브 때문에 이속이 중요한 관우 정도가 사용합니다.

Smite(강타, 징벌, 정격): 모든 정글 캐릭터들이 필수적으로 사용합니다. 대형 오브젝트, 버프 몬스터, 게임 초반 미드 수풀 쪽에 생성 되는 귀요미 등 중요한 정글몹을 안전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정글 아이템을 구매하여 천벌로 업그레이드 된 경우 적 캐릭터에게 사용해 슬로우를 걸 수 있어 전위같이 CC기가 부족한 캐릭터가 갱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기동성과 생존력이 좋은 악마 이신, 정교금, 동방요, 아서 등의 전사가 성장을 위해 정글러가 아닐 때도 채용하기도 합니다. 강가 쪽의 작은 오브젝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카정을 통해 꾸준히 성장할 수 있습니다. 펜타스톰과 다르게 범위 안에 몬스터와 적 캐릭터가 동시에 존재한다면 둘 모두에게 발동됩니다.

Shut down(처단, 참살): 전사들이 두루 애용하던 스펠이었지만 현재는 양전, 사마의 등 킬캐치가 중요한 캐릭들이 주로 사용합니다. 잃은 체력 비례 데미지이기 때문에 최대한 적의 체력을 감소시킨 다음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Anger of the Land(분노, 광폭): 미월, 후예 등 지속딜을 넣을 수 있어 흡혈의 효율이 좋은 캐릭터들이 사용합니다.

Provoke(혼란, 방해, 간요): 보통 타워에 CC를 넣을 수 있는 유선과 미니언을 넉백시켜 자유자재로 다이브할 수 있는 노반대사 등 타워 다이브 능력이 매우 좋은 캐릭터가 장점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사용합니다.

Daze(기절, 감전): 하후돈, 장비 등 튼튼한 탱커 캐릭터들이 CC기 연계를 위해 주로 채용했지만 현재는 약화에 밀리는 추세입니다.

Purify(정화): 오랫동안 적진에 머무는 초선이나 CC기에 매우 취약한 관우가 주로 사용합니다. 이동기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어 정화를 사용해도 무리가 없는 상관완아, 공손리, 손상향 등은 유동적으로 채용합니다.

Cripple(탈진, 약화, 저주): 주로 서포터들이 채용하여 원딜을 암살하기 위해 들어온 적에게서 원딜을 보호합니다. 노부자 등 1대1이 매우 강력한 영웅이 더욱 교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Flash(점멸, 순간이동, 섬현): 위에서 언급하지 않은 대부분의 라이너들이 사용합니다. 단순 접근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고 화목란의 대검 1스, 강자아의 궁극기 등 차징형 스킬이나 달마의 1스킬 같은 돌진기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